7년 만의 정규앨범 < 72 Seasons >을 예고하며 선공개곡을 발표했다. 죽은 자들을 위로하며 꺼지지 않는 불빛을 의미하는 성경 속 구절 ‘Lux æterna’를 인용한 제목에서 40년간 지켜온 메탈 왕좌 위에 존립하려는 거장의 의지가 드러난다. 지나간 명성에 기대어 발전을 멈추는 몇 아티스트와 다르게 메탈리카는 과거 영광에 안주하지 않았다. 때로는 도약의 거리가 미약했을지언정 시대를 마다하지 않고 음악적 쇄신을 통해 나아갔다.
스래시 메탈로서 정체성은 유지하되 선명한 선율로 팝적인 변화를 꾀했다. 시대에 발맞춘 선택이지만 기악적 요소가 잘 드러나지 않고 밴드의 상징적인 곡들인 ‘Master of puppets’나 ‘Enter sandman’과 같은 웅장함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다. 3분 남짓의 노래가 골수팬들에게는 조금의 향취만을 남겼지만 어린 팬들에게 눈높이를 맞췄다. 내년 4월에 발매하기로 한 정규 11집의 적절한 트레일러이다.
“그때 사람들이 들었던 음악은 스틱스나 REO 스피드웨건, 뭐 그런 것들이었어. 우리가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대부분 ‘이게 대체 어디서 나온 거야? 전에 못 들어본 거잖아?’라고들 했지. 왜 그랬겠어? 이런 음악은 안 팔린다고 메이저 레코드사들이 내지 않으니까 접해보지 못했기 때문이야.”
라스 울리히(Lars Ulrich)와 메탈리카는 야들야들한 록과 메탈이 판치던 당시 음악계의 풍토를 ‘능멸’하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선 엄청난 볼륨의 폭발음이라야 했다. 그들은 80년대 메탈의 새 물결 이른바 NWOBHM에 기초해 70년대 펑크의 파괴력과 연주의 단순한 배킹(backing) 요소를 흡수한 새로운 틀의 음악을 주조해냈다. ‘세게 때린다’는 뜻의 스래시 메탈(thrash metal)이었다. 라스 울리히는 자신들의 83년 첫 앨범 <싹 죽여버려>(Kill’em All)를 ‘스래시 메탈 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앨범’이라고 자랑했다.
<마스터 오브 퍼피츠>는 본 조비의 ‘팝메탈의 흥행대작’ <슬리퍼리 웬 웨트>가 나온 85년 같은 해에 발표되었다. 결과는 뻔해 보였지만 팬들의 반응은 예상외로 좋았다. 미국 차트 29위, 영국에선 41위에 오르는 준히트를 기록했다. 팝 메탈과 같은 ‘투우장의 황소’가 아닌 ‘전시의 탱크’ 사운드를 열망하고 있는 메탈 마니아들이 보낸 성원이었다.
메탈리카는 이 앨범의 스래시 탱크 사운드로 얼마 후 록과 메탈 음악계 최고 반열에 올랐다. 사실 84년 발표한 그들의 전작 <번개를 타라>(Ride The Lightning)에서 과격한 스래시는 이미 형식미가 구현된 바 있다. 그런데 <마스터 오브 퍼피츠> 앨범이 그것보다 우대되는 이유는 스래시 메탈의 원시성에 ‘예술성’을 부여했기 때문이었다.
앨범의 수록 곡들에는 스래시의 전형적인 폭음(爆音)이 질펀하다. 그러나 그 단계에 그치지 않고 파괴적 사운드에 ‘대오정렬’을 꾀하고 질서 있는 곡조를 확립함으로써 전무후무한 ‘아트 메탈’을 창조해낸 것이다.
이 음반은 LP 시절 국내에서는 불행히도 ‘정신요양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home, sanitarium) ‘처분할 영웅들'(Disposable heroes) ‘데미지 주식회사'(Damage Inc) 등 3곡이 금지 판정을 받아 팬들의 불만을 샀다. 누락된 곡을 대신해 영국 록 그룹 버지(Budge)의 ‘브리드팬'(Breedfan)과 모터헤드의 ‘왕자'(The Prince)가 메탈리카 버전으로 실렸다.
라스 울리히는 앨범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메탈리카에게는 어쩔 수 없는 약점이 있다. 곡을 짧게 하려고 무진 노력을 해도 도무지 짧은 곡을 만들 수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곡의 스타일이나 전체적인 분위기에서 보자면 1집이나 2집에 비해 더욱 성숙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프로그레시브라고 할 대곡 지향적 구성은 물론이고 ‘주름진’ 스래시가 약간 다림질된 듯 펴졌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최고의 스피드를 자랑하는 첫곡 ‘배터리'(Battery)는 커크 해밋(Kirk Hammett)과 제임스 헤트필드(James Hatfield)의 공격적인 기타 피킹과 라스 울리히의 이성을 마비시키는 드러밍이 압권이다. 이 곡은 동시에 메탈리카 공연문화의 핵을 이루는 ‘헤드뱅잉’ 열풍을 몰고왔다(98년 4월 내한 공연 당시 이 곡이 앙코르되었을 때 고개를 마구 흔들어대는 ‘헤드뱅어’들에 의해 공연장의 다수 의자가 부서졌다)
타이틀 곡 ‘마스트 오브 퍼피츠’는 메탈리카 최고의 걸작이라고 할만큼 기승전결이 뚜렷했다. 제임스 헤트필드의 ‘보컬 카리스마’를 확인할 수 있는 이 곡은 ‘스래시의 찬가’로 꼽힌다. ‘정신요양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는 멤버들이 일컫는 ‘메탈리카식 발라드’의 미학이 꽃을 피우는 곡으로 자신은 멀쩡하다고 여기지만 주위에서는 정신병자로 인식해 병원에 갇히게 된 한 젊은이의 이야기를 다뤘다.
미드템포로 시작되어 점점 속도감을 붙여 가는 ‘처분할 영웅들’은 전쟁터에 끌려간 한 소년에 대한 스토리이며 ‘나병환자의 메시아'(Leper messiah) 역시 사회에대한 항변으로 텔레비전이 주도하는 주류의 폭압적 문화에 대해서 비판을 가하고 있다.
긴장감과 서정성이 동거하는 곡 ‘오리온'(Orion)에서 베이스주자 클리프 버튼(Cliff Burton)은 죽음을 예견이라도 한 듯 무겁고 차분한 진행 속에서 절정의 테크닉을 과시하고 있다. 그는 86년 투어도중 버스 전복사고로 사망했고 그 자리에 제이슨 뉴스테드(Jason Newsted)가 들어왔다.
이 앨범은 메탈리카를 메탈을 넘어 록 전체의 신화적인 존재로 비상시켜주었다. 그러나 그룹은 스래시의 틀에 자신들이 함몰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한 때 스래시의 창조자라는 자부심을 피력했던 라스 울리히는 이 음반을 만들고 난 후 스래시란 말은 이제 그룹에 맞지 않는다고 했다. “확실히 우린 스피드 에너지 그리고 혐오감 제공이란 측면에서 스래시의 원조였다. 하지만 항상 우린 그러한 한정된 틀을 넘어서 왔다. 메탈리카는 항상 진보한다.”
진정한 메탈 음악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로 만든 그룹명과 달리 그들은 90년 거의 ‘메탈 발라드집’을 방불케 한 앨범 <메탈리카>에 이어 5년 공백을 깨고 발표한 <로드>(Load)로는 당시의 록 조류인 얼터너티브 록 리프를 과감히 수용, 스래시 마니아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나중에는 “현재 바하 브람스를 비롯한 클래식 음악을 듣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들은 하고싶은 바대로 음악을 하는 자유를 위해 팬들의 스래시 소아병(小兒病)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팬들이 자신들로부터 스래시만을 원하게 만든 이 작품을 과감하게 역사 속에 안치(安置)시켜버렸다. 이 앨범을 만든 후 진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메탈리카가 조정한 목표는 바로 ‘<마스터 오브 퍼피츠>로부터의 해방’이었다. (2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