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림킴(Lim Kim) ‘MAGO’ (2021)

평가: 3/5

구각을 벗어난 < Generasian >의 과감한 탈피에 이어 뮤직비디오 속 동양 궁수의 모습으로 림킴은 흔들림 없는 영역 구축을 이어간다.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발매한 ‘MAGO’는 한국 신화 속 창조신 마고할미에 영감을 얻어 누가 세상을 창출했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고, 역사를 재현하고자 강건한 언어로 여성의 자부심을 웅변한다. 많은 단어를 날카롭게 교차시켜 어지러운 충돌을 의도하던 전작과 비교하면 간결해진 메시지다. 시선과 물음을 자신에 한정하지 않고 타인에게로 확장해 확고한 연대를 이끄는 모습이 새롭다.

이렇다 할 대중적 요소가 결부되지 않았음에도 프로듀서 말립(Maalib)이 주조한 타악기 리듬이 일관성을 지키고 한결 정돈된 멜로디가 귀를 세운다. 아쟁과 박 등의 전통 악기를 동원해 동양적이고 원시적인 분위기도 십분 살렸다. 묵직한 저음과 을씨년스러운 날숨을 오가는 림킴의 결연에 찬 목소리는 한 혁명가의 연설 같기도. 요소와 장치들을 다수 덜어내고 비움과 호흡에 집중한 카리스마 있는 싱글이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림킴(Lim Kim) ‘Generasian'(2019)

평가: 3.5/5

과격한 ‘Sal-Ki‘로 김예림을 살해한 림킴은 < Generasian >으로 본인의 이미지 변신이 즉흥적인 일탈이 아님을 증명하려 한다. 얼마나 독한 결심인지 이름과 배경 지식을 가리면 그 누구도 과거의 그가 < 슈퍼스타 K3 >의 투개월로 데뷔한 솔로 가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없을 정도다. 유년기 유학 경험으로부터 발견한 ‘동양’과 ‘여성’의 정체성 아래, 거칠고 파괴적인 선동과 실험을 이어가는 림킴에게선 일단 ‘단단히 준비된’ 모습이 포착된다. 

‘민족요’의 수미상관 구조 속 노래들은 확실히 충격과 공격, 전복을 의도하고 있다. 긴 공백기의 내면 탐구 과정을 호기롭게 ‘신세계’라 선언하는 ‘민족요(Entrance)’의 우리 가락부터 ‘아시아 현상’을 노래하는 ‘Yellow’, 인더스트리얼으로부터 잔뜩 벼린 날붙이들의 거친 충돌 ‘Digital khan’과 신비로운 ‘Mong’, ‘Yo-Soul’까지. 프로듀서 노 아이덴티티(No identity)와 림킴은 전에 없던 소리와 전에 없던 콘셉트를 향해 거침없이 진군한다.

변화의 중심축이 잘 잡혀 있어 그 결과물도 나쁘지 않다. ‘호접몽’의 개념을 빌린 ‘Mong’과 마법(Magic)의 한자어 ‘Yo-Soul’의 신비로운 멜로디에서 림킴은 자연스러운 뮤즈가 되어 최적의 가창을 들려준다. 본인이 보컬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밝힌 랩도 ‘Sal-Ki‘에 비해 많이 발전했다. 일본 교복, 조신함, 중국 경극 등으로 희화화된 동양 여성의 고정관념을 비틀어 반항하는 ‘Yellow’의 삐딱함, ‘Digital khan’의 당당함 모두 무리 없이 소화한다.

유교 문화권 하의 억압적인 젠더 구조, 가부장제 사회 속 고통받는 한국 여성들에게 림킴의 행보와 음악은 상당한 카타르시스로 다가온다. 동시에 < Generasian >은 무국적을 지향한다. 인터넷 시대 ‘디지털 유목민’을 유목 민족의 지도자 ‘칸’으로 격상하여 ‘Digital Kahn’이라 선포하고, ‘민족요(Entrance)’를 제외한 모든 곡을 영어 가사로 쓴 것이 그 증거다. 언뜻 장점 같지만, 언어나 문화 등 민족적 색채를 더 강화하는 것이 최근 세계 시장에서 더 호응을 끌어냄을 고려해보면 단점이다. 

림킴은 수많은 아시아 여성 뮤지션들의 발화에 분노와 전통의 언어를 더하며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했다. 우리의 민속 음악, 실험적인 테크노, 힙합을 자유로이 풀어내는 모습은 영국의 엠아이에이(M.I.A), 아프리카 토속의 리듬을 전자음으로 풀어낸 뉴욕의 제이린(Jlin)을 연상케 한다. 아시아의 경우 대만의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 등 중화권 위주로 많은 아티스트들이 정체성을 당당히 표현하며 편견에 맞서고 있는데, 림킴이 이 흐름을 영리하게 포착했다. 

아티스트 개인에게 < Generasian >은 훌륭한 ‘전세 뒤집기’지만 그것이 우리 세대에게 ‘지속 가능한’ 작품인지에 대해선 물음표가 붙는다. 대개 독특한 콘셉트로 승부하는 아티스트들은 구성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권을 꽉 쥐고 있는데, 림킴의 ‘동양 여성’은 자주적인 모습 아래 앞서 언급한 레퍼런스와 프로듀서의 색채가 꽤 짙다. 거친 신생 혁명 여전사의 성공 여부는 정체성의 활용과 정체성에 매몰되는 것 사이의 진지한 고민에 달려있다.

– 수록곡 –
1 민족요 (Entrance)  
2. Yellow
3. Mong
4. Digital khan  
5. Yo-soul 
6. 민족요 (Exit)  

Categories
KPOP Album Album

림킴 (2019)

과격한 ‘Sal-Ki‘로 김예림을 살해한 림킴은 < Generasian >으로 본인의 이미지 변신이 즉흥적인 일탈이 아님을 증명하려 한다. 얼마나 독한 결심인지 이름과 배경 지식을 가리면 그 누구도 과거의 그가 < 슈퍼스타 K3 >의 투개월로 데뷔한 솔로 가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없을 정도다. 유년기 유학 경험으로부터 발견한 ‘동양’과 ‘여성’의 정체성 아래, 거칠고 파괴적인 선동과 실험을 이어가는 림킴에게선 일단 ‘단단히 준비된’ 모습이 포착된다.

‘민족요’의 수미상관 구조 속 노래들은 확실히 충격과 공격, 전복을 의도하고 있다. 긴 공백기의 내면 탐구 과정을 호기롭게 ‘신세계’라 선언하는 ‘민족요(Entrance)’의 우리 가락부터 ‘아시아 현상’을 노래하는 ‘Yellow’, 인더스트리얼으로부터 잔뜩 벼린 날붙이들의 거친 충돌 ‘Digital khan’과 신비로운 ‘Mong’, ‘Yo-Soul’까지. 프로듀서 노 아이덴티티(No identity)와 림킴은 전에 없던 소리와 전에 없던 콘셉트를 향해 거침없이 진군한다.

변화의 중심축이 잘 잡혀 있어 그 결과물도 나쁘지 않다. ‘호접몽’의 개념을 빌린 ‘Mong’과 마법(Magic)의 동양 개념 ‘Yo-Soul’의 신비로운 멜로디에서 림킴은 자연스러운 뮤즈가 되어 최적의 가창을 들려준다. 본인이 보컬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밝힌 랩도 ‘Sal-Ki‘에 비해 많이 발전했다. 일본 교복, 조신함, 중국 경극 등으로 희화화된 동양 여성의 고정관념을 비틀어 반항하는 ‘Yellow’의 삐딱함, ‘Digital khan’의 당당함 모두 무리 없이 소화한다.

유교 문화권 하의 억압적인 젠더 구조, 가부장제 사회 속 고통받는 한국 여성들에게 림킴의 행보와 음악은 상당한 카타르시스로 다가온다. 동시에 < Generasian >은 무국적을 지향한다. 인터넷 시대 ‘디지털 유목민’을 유목 민족의 지도자 ‘칸’으로 격상하여 ‘Digital Kahn’이라 선포하고, ‘민족요(Entrance)’를 제외한 모든 곡을 영어 가사로 쓴 것이 그 증거다. 언뜻 장점 같지만, 언어나 문화 등 민족적 색채를 더 강화하는 것이 최근 세계 시장에서 더 호응을 끌어냄을 고려해보면 단점이다.

림킴은 수많은 아시아 여성 뮤지션들의 발화에 분노와 전통의 언어를 더하며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했다. 우리의 민속 음악, 실험적인 테크노, 힙합을 자유로이 풀어내는 모습은 영국의 엠아이에이(M.I.A), 아프리카 토속의 리듬을 전자음으로 풀어낸 뉴욕의 제이린(Jlin)을 연상케 한다. 아시아의 경우 대만의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 등 중화권 위주로 많은 아티스트들이 정체성을 당당히 표현하며 편견에 맞서고 있는데, 림킴이 이 흐름을 영리하게 포착했다.

아티스트 개인에게 < Generasian >은 훌륭한 ‘전세 뒤집기’지만 그것이 우리 세대에게 ‘지속 가능한’ 작품인지에 대해선 물음표가 붙는다. 대개 독특한 콘셉트로 승부하는 아티스트들은 구성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권을 꽉 쥐고 있는데, 림킴의 ‘동양 여성’은 자주적인 모습 아래 앞서 언급한 레퍼런스와 프로듀서의 색채가 꽤 짙다. 거친 신생 혁명 여전사의 성공 여부는 정체성의 활용과 정체성에 매몰되는 것 사이의 진지한 고민에 달려있다.

– 수록곡 –
1 민족요 (Entrance)
2. Yellow
3. Mong
4. Digital khan
5. Yo-soul
6. 민족요 (Ex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