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POP Album

김새녘 ‘새빛깔'(2022)

평가: 3.5/5

김새녘의 음악을 완성하는 것은 나른한 기타 톤과 빼곡히 써 내려간 가사, 그리고 목소리다. 써놓고 보니 훌륭한 음악이 공통으로 지닌 요소들이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그의 첫 번째 음반 < 새빛깔 >은 자꾸만 묻고 싶은 것들을 만든다. 음악과 비슷한 느낌을 가진 ‘새벽’과 활동명 ‘새녘’ 사이 의도한 연결고리가 있는 것인지. 기쁜 사랑보다는 슬픈 사랑을 풀어가는 각 수록곡은 어떤 상황에서 쓰인 것인지 등등. ‘새’로운 ‘빛깔’, 아니 ‘새’녘의 ‘빛’나는 색’깔’을 담은 작품은 이처럼 듣는 쪽에서 질문을 쏟아내게 할 만큼, 좋다.

‘좋다’는 감상은 새로움 속에서 피어나지 않는다. 그의 음악은 독특하거나 새롭지 않다. 이를테면 ‘가느다란 사랑 하자며 / 나를 쫓아 따라오지 말아요 / 나는 줄 수 있는 것이 없어요 / 같은 생각 나눌 수도 없어요’ 인상적인 노랫말로 문을 여는 ‘싫증’은 밴드 쏜애플의 멜랑꼴리함을 닮았고, 힘없는 보컬과 탱탱한 일렉트릭 기타 선율로 곡 흐름의 강약을 조절하는 끝 곡 ‘알람’은 신해경, 검정치마 음악과 같은 선로를 달리는 식이다. 새로움은 없지만 분명 ‘내 것’인 덕에 익숙함과 편안함이란 강점을 가졌다. 또한, 조급함 없이 ‘내 이야기’를 풀어낸 점 역시 완성도를 높인다.

6개의 트랙은 흥분하지 않은 욕심으로 가득 차 있다. 부유하는 일렉트릭 기타,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은 드럼 비트로 골격을 다진 비슷한 구성 사이 매 곡이 선명한 힘을 가진다. 특별히 색 강한 사운드 소스를 쓰지 않아 호흡이 늘어질 수도 있었지만, 앨범은 그 인과관계에서 벗어난다. 힘 있는 메시지와 완급조절의 맛이 살아있다. 김새녘표 사이키델릭. 지는 계절 속 슬픈 나를 회상하는 ‘Floor Flower’,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건 너의 이기심이야’ 비난하는 ‘갈증’ 등 앨범에는 꾹꾹 눌러 쓴 기억, 추억, 시간, 순간의 편린이 살아 숨 쉰다.

그를 ‘무드 메이커’라고 칭하고 싶다. < 새빛깔 >은 저마다의 감정 속으로 듣는 이를 떨어뜨린다. 혹자는 그 이유를 음악 앞에 ‘드림팝’이란 수식을 붙여 설명하려 들겠지만, 장르의 구분을 떠나 그저 쉽게 마음이 몽글몽글해지는 작품이다. ‘나는 / 이런 / 오직 / 이런 / 다툼 / 그만 / 너와 / 하고 싶어’ 노래하는 ‘고집’과 ‘날 버리기 전에 다시금 떠올려봐요’ 붙잡는 ‘의심’ 사이 누군가는 또 어떤 기억을 떠올릴지 궁금하다. 24분의 짧은 러닝타임 동안, 쓰거나 달지 않게 되묻는 사랑 노래가 흐르고 때에 맞춰 각자의 (히)스토리가 퍼져나간다.

– 수록곡 –
1. 고집
2. 싫증 
3. 의심
4. Floor Flower
5. 갈증 
6. 알람
 

Categories
Album POP Album

킹 기저드 앤드 리저드 위저드(King Gizzard & Lizard Wizard) ‘Butterfly 3000’ (2021)

평가: 4/5

전형적이지 않은 악곡 전개와 정신 착란적인 사운드스케이프, 사이보그와 괴물이 등장하는 ‘Gizzverse’라는 세계관까지 컬트적 요소를 두루 갖춘 호주 출신 킹 기저드 앤드 리저드 위저드는 지난 10년 동안 무려 18장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했다. 사이키델릭 록과 재즈 퓨전, 헤비메탈 등 각기 다른 장르의 앨범을 만들어온 이들은 전작 < L.W. >가 나온 지 불과 4달 만에 19번째 정규 앨범 < Butterfly 3000 >을 내놓았다. 넘치는 개성과 대중성 사이의 균형점을 찾은 이 괴짜 밴드는 이번엔 여름에 잘 어울리는 산뜻한 신스 팝을 선사한다.

난해한 프로그레시브 록 앨범 < Polygondwanaland >와 과격한 스래시 메탈 < Infest The Rats’ Nest >처럼 대중성과 거리가 먼 음악을 펼쳐온 이들은 홈레코딩으로 제작한 이번 신작에서는 선율을 강조한 신스 팝을 내세워 감상의 진입 장벽을 대폭 낮췄다. 덕분에 그들의 경력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듣기 쉬운 음반이 됐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이질적인 작품이기도 하다.

10곡에 걸쳐 반복되는 신시사이저 루프는 잊히지 않는 잔상을 남기며 앨범에 일관성을 부여했다. 앨범 전체가 하나로 연결된 느낌을 받는 이유지만 소리의 실험자답게 신시사이저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가지 악기를 배합해 곡의 개별성을 확보했다. 어쿠스틱 피아노와 기타가 상쾌한 ‘Interior people’과 월리처 피아노에 멜로트론을 더해 풍성한 소리를 구현한 ‘Blue morpho’가 대표적이다. 가창보다 기악에 방점을 찍는 모습은 류이치 사카모토가 소속했던 일본의 신스 팝 밴드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와 아방가르드한 전자음악을 구사했던 영국 밴드 아트 오브 노이즈가 떠오르는 지점.

만화경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킹 기저드 앤드 리저드 위저드의 경력은 다양한 음악에 목마른 마니아들의 갈증을 해소해왔다. 3~4분의 러닝 타임 안에서 익숙하고 비슷한 것들이 펼쳐지는 팝에서 벗어나 안전장치를 풀어버린 이들의 음악은 상대적으로 대중성이 높은 이번 앨범에서도 유지됐다. 취향이 확고한 팬들과 일반 대중을 동시에 포용할 가능성을 모두 포획한 독특한 앨범이다.

– 수록곡 –
1. Yours
2. Shanghai
3. Dreams
4. Blue morpho
5. Interior people
6. Catching smoke
7. 2.2 killer year
8. Black hot soup
9. Ya love
10. Butterfly 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