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마가 이제 내 곁에 없는데 내가 한국인일 수 있을까?”
재패니즈 브렉퍼스트가 한국을 찾은 지난 2018년. 이즘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전 세계 120여 회 투어의 종착지로 고국인 한국을 택한 그는 마지막 공연의 열기가 채 가라앉기도 전에 인터뷰에 응했다. 피곤한 내색은 없었다. 반짝이는 눈으로 하루에 4~5시간씩 한국어 연습을 하고 있다고 말하던 그의 모습에서 알 수 없는 감정이 옮겨왔다. 노력하는 자의 성실함이 주는 경애? 공연장을 꽉 채우는 스타가 가진 의외의 모습 때문에? 모두 아니다. 그건 인터뷰 내내 그가 전한 한국을 향한 애정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상실감, 공연 후의 후련함, 아쉬움 등의 감정이 맑고 짙게 뭉쳐져 다가왔던 탓이다.
지금의 활동 전 그는 ‘리틀 빅 리그’란 밴드의 일원이었다. 그가 ‘재패니즈 브렉퍼스트’가 된 건 25살 무렵 갑작스레 찾아온 엄마의 암 소식과 그의 죽음 때문이었다. 슬픔을 덜기 위해 소규모 자본만을 동원해 발매한 < Psychopomp >(2016)는 그렇게 세상에 나왔다.
“괜찮아, 괜찮아, 돈 크라이 스위티”
동명의 수록곡 속 엄마는 위로하지만 앨범은 짙은 슬픔으로 젖어 있었다. ‘Jane cum’의 부수고 뭉개고 절규하는 외침과 ‘Everybody wants to love you’, ‘Heft’ 등의 밝은 곡을 고루 담았지만 작품은 절절하게 외치고 있었다. ‘나는 당신의 죽음을 받아들일 수 없다.’
엄마의 죽음이란 개인적 상념을 담은 음반은 음악을 현업으로 이어가지 않던 당시 그를 무대 위로 복귀시켰다. 그만큼 많은 관심을 받았다. 어느 정도 감정의 잔재를 털어낸 정규 2집 < Soft Sounds from Another Planet >(2017)을 거쳐 얼마 전 3집 < Jubilee >(2021)를 발매한 그는 엄마의 죽음이란 ‘끝’을 보고 역설적으로 음악을 다시 ‘시작’했다. 고로 재패니즈 브렉퍼스트의 음악 일대기에는 음악가 이전의 미셸 자우너가 겪은 가장 큰 상실과 치유, 회복, 성장이 모두 녹아있다. 실제로 < Jubilee >은 유달리 밝고 힘차다. 슬픔의 끝을 묶은 재패니즈 브렉퍼스트가, 미셸 자우너가 새로운 시작을 선포했다.
< H마트에서 울다 >에는 이러한 미셸 자우너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지독한 잔소리꾼인 엄마와 얽힌 애증의 일화부터 이제야 그를 이해하게 됐을 무렵 찾아온 암 투병, 살리기 위한 노력, 죽음, 상실과 회복 등등.
뮤지션의 노래는 그의 삶을 이해하고 느꼈을 때 더 명징하게 온다. ‘엄마가 이제 내 곁에 없는데 내가 한국인일 수 있을까?’라는 물음의 답을 찬찬히 찾아가는 이 에세이는 그렇게 미셸 자우너와 재패니즈 브렉퍼스트를 오가며 위로를 건넨다. 엄마. 엄마가 아니던가. 엄마가 우리를 품었듯 마음속에 엄마를 품지 않은 사람은 없다. 이 위대한 사실이 개인적인 미셸 자우너의 이야기가 많은 이들의 공감을 사는 이유일 것이다.

■ 지은이 미셸 자우너(Michelle Zauner)
몽환적인 슈게이징 스타일 음악을 하는 인디 팝 밴드 재패니즈 브렉퍼스트의 가수이자 기타리스트다. 2016년 1집 〈저승사자Psychopomp〉로 데뷔했으며, 2017년 2집 〈다른 행성에서 들려온 부드러운 소리Soft Sounds from Another Planet〉는 『롤링스톤』 올해의 앨범 50에 선정됐다. 2021년 3집 〈주빌리Jubilee〉가 빌보드 2021 상반기 최고 앨범 50에 선정되며 전 세계 주요 음원 차트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활발히 투어 공연을 하고 있다.
재패니즈 브렉퍼스트는 그래미 어워드 후보에 두 번 올랐으며, 『H마트에서 울다』는 뉴욕 타임스에서 29주 이상 베스트셀러 자리를 지키고 있다.
■ 차례
H마트에서 울다
울긴 왜 울어
쌍꺼풀
뉴욕 스타일
와인이 어딨지?
암흑 물질
약
언니
우리는 어디로 가는 걸까?
살아가기와 죽어가기
당신이란 사람에게 황겁할 정도로 도저하지 않은 점이 대체 무엇이겠습니까!
법과 질서
묵직한 손
사랑스러운
내 사랑은 계속될 거예요
잣죽
작은 도끼
망치 여사와 나
김치냉장고
커피 한 잔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