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Feature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실시간 차트 시대를 돌아보며

실시간 차트의 시대가 막을 내렸다. 2020년 7월 6일부로 음원 서비스 멜론의 ‘실시간 차트’는 ‘24Hits’라는 새 이름으로 운영된다.

한 시간 단위로 차트 추이를 업데이트하며 순위를 표기하던 지금까지의 방식을 폐기하고, 24시간 동안 이용량 중 스트리밍 40%와 다운로드 60%를 반영해 순위 표기 없이 인기곡을 소개하겠다는 취지다. 또한 이용자 개인의 청취 습관을 기반으로 인기곡을 나열하는 ‘My 24Hits’라는 차트를 추가 공개하며 음원 ‘개인화’ 흐름에 동참하는 모습도 보였다.

멜론이 실시간 차트를 처음 만들어낸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공신력 있는 차트 없이 침체되어가던 가요계에서 멜론의 실시간 차트 서비스는 음악을 소비하는 방식 자체를 새로이 규정했다. 2004년 SK텔레콤 산하 사업으로 출발한 멜론은 2010년에 이미 유료 가입자 120만 명을 확보한 상황이었고, 디지털 음원 시장의 절대 강자로 입지를 굳히게 되자 자연스레 뉴 노멀(New-Normal)의 권력을 쥐게 됐다. 실시간 차트의 시대가 열렸다.


 100위권 외 음악은 음악이 아니었다.

멜론차트>멜론 TOP 100>실시간>멜론

돌이켜보면 이보다도 편하게 음악을 들을 수 있던 시대가 없었다. 고민할 필요도 없이 실시간 차트 위 ‘전체 재생’을 누르기만 하면 당대 제일 유행하는 노래들이 흘러나왔다. 이용권을 구매하지 않아도 불법 파일 공유 사이트에는 ‘멜론 ㅁ월 ㅁ주차 차트 100위’ 파일이 끊임없이 올라왔다. 이용권 가격이 저렴했음은 물론이다.

유튜브가 활성화된 이후에는 지금 이 순간에도 멜론둥이’, ‘멜론총각’ 같은 유명 유튜버들이 1시간 이상의 공짜 플레이리스트를 업로드한다. 개인에게도, 배경음악을 찾는 업장에게도 제격이었다. 

그러다 보니 이 사회에 음악은 딱 100곡만 존재하게 됐다. 발매와 동시에 차트에 진입하지 못하면 그 곡은 영화 <인사이드 아웃> 속 ‘망각의 쓰레기 더미’처럼 영영 잊혀갔다. 이용자층이 많지 않았을 때는 잠잠했지만 실시간 차트가 한국 유행가의 척도가 된 후에는 모두가 차트 진입에 사활을 걸었다. 베테랑 가수 휘성의 2014년 곡 ‘돈 벌어야 돼’ 속 가사가 정확히 그 시대를 기록한다. ‘연두 과일나무 정상에 한번 걸려야 돼 / Music makes me cry…

간혹 ‘빙봉의 로켓 수레’처럼 망각의 틈에서 솟아오르는 노래도 있었다. 미디어의 영향도 있었고 기타 이슈도 있었지만 이 고난의 서사에 대중은 ‘역주행’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플랫폼도 이를 부추겼다. ‘차트 밖 1위’라는 프로그램을 따로 만들어 100위권 안으로 진입한 노래를 친히 구제하며, 그 치열한 경쟁을 뚫고 올라온 노래들에 고난의 서사를 부여했다. 100위 안에 들지 못하는 노래는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는 수많은 노래 중 딱 100곡 만을 강요받았다. 

부추기기

GD-SUPPORTERS trên Twitter: "현재 멜론 차트 #LOSER vs #BAEABE ...

오직 100등까지만 이름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 안에서 경쟁은 과열됐다. 2010년대 중반까지 ‘차트 줄 세우기’는 일상이었다. 음원 공개되는 자정만 되면 셀 수 없이 많은 아이돌 팬덤들이 ‘총공’이라는 이름 아래 전쟁을 벌였다. 

‘숨밍(숨 쉬듯이 스트리밍)’이라는 새 시대의 언어 아래 팬들은 가족, 친구들의 휴대전화를 빌려 스트리밍 앱을 켜고 자신이 응원하는 그룹의 노래를 들었다. 그렇게 달성한 차트 1위, 그 아래 차례대로 늘어진 노래들은 결국 우리가 승리했다는 명예로운 훈장이었다.

멜론은 실시간 차트의 경쟁을 부추겼다. 5분 단위로 실시간 차트 변동 추이를 생중계하고 24시간 누적 이용자 수를 전시하며 인기 순위를 마치 거대한 경마장으로 만들었다. ‘경합’, ‘차트 지붕킥’ 등 새로운 단어가 등장하며 마음을 조급하게 만들었다.

성토의 목소리도 있었다. 그러나 100위 권 안에만 들면, 상위권에만 안착하면 보장되고 확장되는 성공 앞에선 공염불이었다. 오히려 왜곡된 시스템에서 비판받는 이들은 경쟁을 부추기는 주체가 아니라 팬들과 이용자들이었다.

음원 사재기가 가져온 최후의 날

음원 사재기: 왜 내가 모르는 가수가 1위를 하는거지? - BBC News 코리아

자연히 어두운 손길이 다가왔다. 이미 2013년부터 음원 사재기, 차트 조작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제기됐다. 수천만 원부터 수억 원까지 돈을 챙긴 브로커들이 유령 계정을 생성하고 대포폰을 사들여 ‘작업장’을 차려놓고 차트 진입을 사고 판다는 제보였다.

2010년대 중반부터는 페이스북 페이지, 유튜브 채널 등을 활용한 ‘바이럴 마케팅’이 극성이었다. 발표한 지 몇 개월이 지난, 데뷔한 지 얼마 안 된 신인 가수의 노래가 아이돌 그룹 및 유명 가수들을 제치고 갑작스레 반등하며 차트 상위권에 안착했다. 

논란의 중심이 된 아티스트들, ‘마케팅 업체’라 주장하는 소속사들, 멜론을 운영하는 카카오 M, 문화체육관광부 모두 음원 사재기 의혹을 부정하거나 진상을 규명하지 못했다. “해당 음원에 대한 자료가 부족해 음원 사재기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답변이 최선이었다.

100위권 진입을 위해 치열하게 투쟁하던 팬덤도, 공정을 화두로 삼고 있는 대중도 분노했다. 그리고 이들 ‘기계 픽(음원 사재기 논란에 휩싸인 곡들의 멸칭)’은 공고할 것 같았던 실시간 차트의 근간을 뿌리부터 흔들기 시작했다. 차트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신뢰를 잃어버린 플랫폼들은 결국 대규모 개편을 택했다. 2010년대 말부터 디지털 시장의 패권을 유튜브로 빼앗긴 것 역시 버틸 힘을 잃게 했다. 2019년 1월 네이버 바이브가 실시간 차트를 일간 차트로 변경해 제공한 후 실시간 차트 폐지를 선언한 SK텔레콤의 FLO가 뒤를 이었다. 바이브는 이용자 중심의 새 정산 방식(VPS)까지 발표하며 한 걸음 더 나아가기도 했다. 결국 가장 큰 지분을 쥐고 있던 멜론 역시 ‘실시간 차트’의 간판을 바꿔 달았다. 

‘개인화’, ‘공정’ 외치기 전에

그러나 정말 이게 변화일까. 개혁을 선언하며 새로 만들어진 차트들 역시 예전 실시간 차트와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24Hits 차트만 보더라도 노래 제목 옆 번호만 없어졌을 뿐 한 시간 단위로 순위를 업데이트하고 나열하는 것은 그대로다. 최상위권의 변동폭은 여전히 좁고, 인기 가수들을 제외한 음악인들에게 100위권 진입은 더욱 어려워졌다.

물론 개편 후 특정 곡이 급격한 성장세를 보인다거나 오래도록 차트에 머무르는 빈도가 줄어드는 등의 긍정적인 모습도 목격된다. 하지만 팬덤은 여전히 ‘숨듣’, ‘총공’을 종용하고 각종 차트 분석 사이트들에선 여전히 ‘지붕킥’, ‘종합 이용자수’, ‘추이 그래프’ 등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된다. 여기에 개인화나 큐레이션은 없다.

스트리밍이 절대적인 국내 청취 시장에서 음원 다운로드 비중을 60%나 반영하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구체적인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상황에서 결국 또 다른 형태의 사재기와 줄 세우기에 대한 우려가 생긴다. 사재기 의혹과 아티스트 수익 배분 문제 어느 하나 시원하게 해명하지 않은 상황에서 개운치 않은 지표다.

개인화를 외치며 난세를 타개하고자 하는 한국 스트리밍 음악 세계지만 언제나 그들의 세계는 100곡이 기준이다. 사재기 논란이 대적으로 점화되지 않았다면,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 해외 플랫폼의 기세가 거세지 않았다면 애초에 변화를 시도했을지조차 회의적이다. 셀 수 없이 매년 많은 이들이 공신력 있는 대표 차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반복하지만 ‘실시간 차트’ 생태계에선 공정보다 수익이 먼저기에 가능성이 없다. 

공정한 음악, 정당한 차트를 외치기 앞서 플랫폼들은 실시간 차트를 생태계 표준으로 만들어버린 도의적 책임부터 지녀야 한다. 실시간 차트의 시대를 살며 음악은 경마장의 말, 사업 아이템, 수익 모델에 더 가까워졌다. 저작권료 횡령 등 그간의 범죄까지 언급하자면 그 해악이 이루 말할 수 없다. 대중은 진정한 변화, 공정한 순위를 바란다. 눈 가리고 아웅 앞엔 도태만이 기다린다. 

Categories
Feature 김도헌의 Twist And Shout

코로나19에 격리당한 음악

Coronavirus: Coachella music festival postponed - BBC News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세상은 이제 다시 오지 않는다.”. 4월 11일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우 부본부장의 잔인하고도 정확한 예측이다. 2019년 1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대유행이 지구상 모든 국가들을 멈춰세우며 인류는 원치 않은 새 국면을 마주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당연한 것이라 믿어왔던 것들이 허물어지고, ‘사회적 거리두기’ 아래 기성 산업에 적색 경고등이 켜지는 중이다. 

대중음악계 역시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직격탄을 맞았다. ‘봄의 침묵’에 소리를 잃은 격이다. 공연, 콘서트, 페스티벌, 기획, 앨범 발매, 신곡 발표 등이 모두 미뤄지거나 취소되며 전례없는 침체기가 찾아왔다. 뮤지션들과 관계자, 기획사 모두가 의도치 않게 숨을 고르고 있다.

매주 활기를 띠어야 할 공연장과 클럽은 복귀를 기약할 수 없는 긴 휴지기를 겪었고, 팬들을 설레게 했던 거대 페스티벌과 행사 모두 먼 옛날의 추억처럼 느껴진다. 그나마 성공적인 방역체계를 구축한 우리의 사정은 나은 편이다. 기지개라도 킬 수 있는 한국과 달리 팝 시장은 완전히 초토화됐다.

Glastonbury Festival is cancelled due to coronavirus

다수의 해외 매체들은 올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콘서트 업계의 손실이 9억 달러(1조 1,11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코첼라(Coachella), 글라스톤베리(Glastonbury) 등 굵직한 페스티벌은 물론 사우스바이사우스웨스트(SXSW), 빌보드 뮤직 어워드(BBMA)같은 행사까지도 모조리 취소되거나 연기됐다. 북미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연 기획사 라이브네이션과 AEG가 그들의 일정표를 깔끔히 비웠을 정도다. 뮤지션은 물론 투어 매니저 및 음향 엔지니어들부터 공연 업계에 종사하는 모든 이들이 얼어붙었다. 

음악 업계는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외출을 금하는 사람들이 음악을 더 많이 들을 것이라 희망을 품었다. 오판이었다. 영상 스트리밍 업체 넷플릭스(Netflix)가 한 달 새 1600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모으며 거대 기업으로 발돋움한 반면 음악 재생은 눈에 띠게 줄었다.

‘뮤직비즈니스월드와이드’에 따르면 미국 사회 코로나바이러스 공포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3월 13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내 스트리밍 횟수는 7.6%, 디지털 음원 소비는 10.7% 감소했으며 피지컬 앨범 소비는 27.6%나 줄어들었다. 세계 최대의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Spotify)의 경우 ‘톱 200’ 차트 재생수가 전 주 대비 1억 8천 건이나 감소했다.

2000년대 이후 가파른 내리막길을 걷던 음악 산업계는 2010년대 이후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며 실로 오랜만에 상승 곡선을 타고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 음원은 실물 음반 소비를 대체했을 뿐, 실제 성공의 핵심은 공연 및 페스티벌 업계의 성장에 있었다. ‘빌보드’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벌어들인 10명 음악가들의 평균 수입 비중에서 공연 수입이 무려 85.7%를 기록했다. 스트리밍 손실도 뼈아프지만 재개를 기약할 수 없는 콘서트 취소 및 연기야말로 더욱 치명적이다. 

이제 음악의 개념은 ‘듣는 것’에서 ‘보는 것’으로 완벽히 옮겨왔다. 아티스트들은 그 대안을 온라인에서 찾는다. 스트리밍 횟수가 줄어드는 와중에도 같은 기간 미국 내 유튜브, 틱톡 등 영상 플랫폼 소비는 오히려 1.3% 증가했다. 실제로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인 지금 음원 소비와 대규모 공연 및 페스티벌은 줄었으나 음악가들의 자발적인 라이브 중계는 오히려 늘었다. 특히 기성 미디어의 수혜를 받지 못했으나 소셜 미디어에 능통한 인디 뮤지션들은 빅 룸 TV(Big Room TV), 유튜브, 인스타그램을 통해 자신의 좁은 작업실을 온라인 쇼케이스장으로 만들었다. 

One World: Together at Home' raised more than $127M for ...

고무된 음악가들은 랜선으로 연대하여 바이러스와 싸우고자 한다. 4월 19일 레이디 가가와 자선 단체 ‘글로벌 시티즌’, 세계보건기구(WHO)가 주최한 ‘원 월드 : 투게더 앳 홈(One World : Together At Home)’이 대표적이다. 코로나19에 맞서는 의료진을 후원하기 위해 폴 매카트니, 롤링 스톤즈, 빌리 아일리시, 엘튼 존, 알리샤 키스 등 100여 명의 아티스트들이 각자의 공간에서 합동 공연을 펼쳤고, 7일만에 3500만 달러 (약 452억 원)을 모금했다.

오는 4월 25일에는 워너뮤직그룹에서 기획한 ‘플레이온 페스트(PlayOn Fest)’가 생중계된다. 콜드플레이, 카디비, 브루노 마스, 앤 마리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유명 공연 실황이 전파를 탄다. 이들 공연은 1985년 에티오피아 기근 구호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밥 겔도프와 미지 유어가 기획한 대규모 자선공연 라이브 에이드(Live Aid)의 인터넷 시대 버전이라 할 수 있다. 오프라인 시장이 온라인 시장으로 흡수되는 발걸음이다.

그러나 슬프게도 우리는 이들 공연이 지금 당장 라이브 에이드만큼의 감격과 호응을 이끌어낼 수 없다는 사실 역시 알고 있다. ‘그들이 쇼를 훔쳤다!’는 찬사를 받았던 퀸(Queen)의 역사적인 무대가 인터넷에서 펼쳐지지 않으리라는 것 역시 알고 있다. 영상 스트리밍 전성기를 인도한 인터넷이 적어도 음악에 있어서는 실황 무대의 현장성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보는 것’ 뿐 아니라 ‘현실에서 함께하는 것’을 놓쳤기에 쿼런틴(Quarantine : 격리) 시대 음악은 부진할 수밖에 없다. 

방탄소년단, 유튜브 통해 언택트 콘서트 '방방콘' 연다 - 'Startup's ...
Prince Tribute from the GRAMMYs Set for 1/28 in LA with Tons of Stars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침체기다. 그럼에도 희망을 피우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 있다. 그래미 어워드를 주관하는 레코딩 아카데미가 코로나19 구호 기금으로 2백만 달러를 기부했고, 스포티파이는 어려움에 빠진 아티스트들을 위해 천만 달러 규모의 구호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기금 모집에 나서고 있다. 

‘원 월드’와 같은 대규모 온라인 자선 공연은 코로나19에 맞서 일선에서 투쟁하는 의료진들과 창작의 고삐를 놓지 않는 뮤지션, 음악 업계 종사자들에게 힘을 싣고 있다. ‘방에서 즐기는 방탄소년단 콘서트’를 선보인 방탄소년단, 4월 21일 프린스 사망 4주기를 맞아 대규모 트리뷰트 공연을 생중계한 레코딩 아카데미, 너바나 커버 라이브를 예고한 포스트 말론 등 다양한 뮤지션들이 위기 극복을 위한 콘텐츠를 생산 중이다.

분명 코로나19 이전의 음악 세계는 다시 돌아오지 않겠지만 대중음악의 가치가 불변할 것이라는 것 또한 자명하다. 음악은 영상이 침투할 수 없는 일상과 감정 곳곳 아주 미세한 곳까지 파고들 수 있는 유일한 매체다.

‘원 월드’에서 리타 오라(Rita Ora)가 부른 노래 ‘I’ll never let you down’처럼 우리도 음악을 놓지 않을 것이다. 코로나19의 시대. 음악은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변해갈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