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뉴트로 특집 VOL. 1 : ‘레트로 아니, 뉴트로 마니아’의 시대

복고가 뭐길래. 이리도 오랜 시간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특히 ‘젊은 세대’에게도 사랑받는 것인가. 한 번쯤은 떠올렸을 궁금증이다. 이에 이즘이 ‘뉴트로 특집’을 준비했다. 먼저 박수진 필자가 ‘레트로 아니, 뉴트로 마니아의 시대’란 제목으로 복고(레트로)와 뉴트로의 정의를 알리고 오늘날 뉴트로가 사랑받는 이유에 대해 정리한다. 이 흐름 안에서 짚고 가면 좋을 국내외 대표 아티스트도 함께 언급했다고 하니 복고 열풍을 이해하는 좋은 지침서가 될 듯하다. 특집들은 한 주의 차를 두고 공개된다.

복고가 대중음악의 트렌드로 자리한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니다. 2007년, 1970년대 디스코를 복각한 원더걸스의 ‘Tell me’가 전국에 선풍적인 반향을 일으킨다. 다음 해인 2008년, 그들은 1960년대 흑인 보컬 그룹 슈프림스의 콘셉트를 ‘재연’한 ‘Nobody’로 인기를 이어가는데 이는 미국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되기도 했다. 진출 이상의 성과는 없었지만 당시 시야를 해외로 옮길 만큼 원더걸스의 인기는 대단했다. 복고와 함께한 성공이었다.

근 15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복고는 음악 곁에 있다. 지역이나 문화권을 뛰어넘은 전 세계적 흐름이다. 해외 음악 시장을 보자. 데뷔 초 ‘Marry me’, ‘Just the way you are’ 등 달콤한 팝을 하던 브루노 마스가 ‘Treasure’, ‘Uptown funk’, ’24K magic’ 등의 펑크(Funk)를 주력으로 삼은 지 오랜 시간이 지났다. 도자 캣의 긴 무명 시절을 끝내 준 효자곡 ‘Say so’ 역시 디스코, 펑크를 근간으로 하고 게일을 한순간에 스타로 만든 ‘abcdefu’ 또한 2000년대 초반 팝펑크를 여기로 이식한다. 신시사이저를 근사하게 채색한 해리 스타일스의 신곡 ‘As it was’는 현재 빌보드 싱글차트 2위를 순항 중이다.

복고의 의미를 따져볼 필요성을 느낀다. 복고, 즉 레트로(retro)는 회상, 회고, 추억이라는 의미의 영어 단어 ‘retrospect’로부터 파생했다. 과거의 ‘재현’을 통해 향수를 느끼고 추억을 되새기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해리 스타일스의 ‘As it was’를 듣고 그때 그 시절 떠올리는 (아마도) 중장년층에게 이 곡은 레트로다. 반면 추억이 없는 1020세대에게 이 곡이 지닌 복고적인 특성은 ‘색다름’이며 ‘새로움’이다. 이때는 ‘뉴트로’다. ‘새롭다’라는 뜻의 new와 ‘복고’의 retro가 합쳐진 신조어 ‘뉴트로’는 이렇게 레트로와 종이 한 장 정도의 차이를 가진다.

레트로와 뉴트로를 굳이 나누는 것은 한국 한정 현상이다. 책 < 트렌드 코리아 2019 >에서 뉴트로를 새해 소비 트렌드 전망으로 꼽으며 대중화됐다. 레트로 콘셉트의 음악에 이렇다 할 추억이 없는 젊은 세대에게 복고가 계속해서 큰 관심을 끄는 것이 키워드화 될 정도로 붐인 것이다. 도대체 왜. 다수의 전문가는 해답을 디지털 매체의 발달에서 찾는다.

2017년 익명의 ‘유튜브’ 계정에 타케우치 마리야의 곡 ‘Plastic love’가 업로드됐다. 2022년 현재 5천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발매된 지 30년도 더 된 이 곡이 별다른 맥락 없이 향수를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로(위 영상의 댓글 창을 보자) 소환되고 회자했다. 그렇게 불어온 시티팝 열풍이 유튜브 알고리즘 추천을 타고 국내까지 번졌다. 빛과 소금의 ‘샴푸의 요정’이 젊은이들의 귓가를 쓰다듬었고, 김현철은 10년 만의 정규 음반을 발표한다. 백예린, 아이유, 태연, 브레이브 걸스 등이 시티팝 스타일의 노래를 불렀다.

나아가 소셜 미디어 사용이 확대되며 뉴트로가 ‘확산’되는 속도가 빨라졌다. 2020년 한 틱톡커(Tiktoker)가 스케이트보드를 타며 플리트우드 맥의 ‘Dreams’를 따라 부르는 영상을 올린다. 이 영상이 입소문을 타며 1977년에 발표한 곡이 40여년 만에 빌보드 싱글 차트 21위에 재진입했다. 최근 국내의 각종 숏폼 플랫폼에서는 이럽션의 ‘Oneway ticket’이 활약 중이다. 1980년 방미가 ‘나를 보러와요’로 번안하며 인기를 끈 이 노래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원곡으로 다시 사랑받고 있다. 곡이 가진 ‘뽕끼’와 촌스러운 익살스러움이 젊은 층에게 개성과 재미로 먹혀들었기 때문.

앞으로 달려 나가는 사회에서 자꾸만 뒤를 돌아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디지털 매체가 발달하고 소셜 미디어 사용이 확대된 오늘날 우리가 찾는 새로움이 ‘미래’가 아닌 ‘과거’에 더욱 쏠려 있다는 것은 복고가 전하는 메시지가 무언의 설득력을 가진다는 것을 뜻한다. 이제 막 30대 초입에 들어선 필자는 그 답을 현실의 퍽퍽함에서 찾고자 한다. 기술 매체의 발달이 되려 팽팽한 긴장감으로 치환되는 지금 우리네 사회는 앞을 내다볼 여유가 없다.

영국의 저명한 평론가 사이먼 레이놀즈는 < 레트로 마니아 >라는 책에서 레트로 문화를 강도 높게 비판한다. 그는 “문화에서 레트로 마니아는 이제 지배적 우상을 넘어 임계점에 다다른 느낌”이라 말하며 “문화가 노스탤지어에 매달려서 앞으로 나갈 힘을 잃은 걸까, 아니면 문화가 더는 앞으로 나가지 않아서 결정적이고 역동적이던 시대에 노스탤지어를 느끼는 걸까”라는 질문을 덧붙인다. 일면 타당한 시선이다. 재창조가 받침 되지 않는 복고는 완벽한 재현(혹은 재연) 이상의 함의를 띄지 못한다.

그렇기에 언제든 가져다 쓸 수 있는 과거의 다양한 유산들은 자칫 그것이 음악의 전부가 될 경우 질적 하락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번 글에서 복고가 사랑받는 이유에 대해서 분석하며 현실의 바로미터를 파악했다. 이어질 특집을 통해 레트로, 아니 뉴트로 마니아의 시대 복고를 듣기 좋게 재창조한 곡들을 소개한다. 대중문화를 사로잡은 ‘과거 앓이’가 자기복제 이상의 가치 창출로 뻗어나가길 바라며, 다음 특집도 재밌게 읽어주시길.

Categories
Album POP Album

게일(Gayle) ‘A Study Of The Human Experience Volume One’ (2022)

평가: 2/5

2004년에 태어난 게일은 자기를 힘들게 한 사람들을 향해 노래로 욕을 한다. 두려움을 모르는 이 10대는 자신을 둘러싼 분노와 답답함, 불확실한 미래를 정화하지 않고 고스란히 분출해 다른 사람에게 대리만족을 제공하며 견고하게 재단된 사회 구조에 들어가기 직전에 모든 것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정제하지 않은 광폭한 언어로 일갈한다.

전 남자친구의 모든 것을 증오하는 ‘abcdefu’부터 새로운 인연에 대한 의심을 떨치지 못하는 ‘Luv starved’, 쉬운 사랑에 대한 후회를 언급하는 ‘Sleeping with my friends’, 거짓말로 섹스만 원하는 상대를 저격한 ‘Ur just horny’, 꼬여버린 인간관계에 대한 ‘E-Z’까지 ’19금’의 내용을 17살의 소녀가 폭로한다. 사전검열 시대였다면 금지곡으로 묶였을 노래들이다.

거침없는 자신감과 다부진 자존감이 팝 펑크와 팝록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음악과 만나 시너지 효과를 내며 되바라진 뮤지션의 당돌함을 정당화한다. 프로그래밍으로 찍은 드럼과 디스토션 걸린 일렉트릭 기타 사이에서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확인한 그는 빌리 아일리시,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색체에 자신의 음악 DNA를 투영해 현재의 음악 트렌드에 민감한 싱어송라이터라는 점 또한 부각한다. 틱톡에서 입소문을 타기 시작해서 빌보드 싱글차트 3위까지 오른 ‘abcdefu’, 뮤트 백킹의 리듬 기타가 파워를 장착한 ‘Ur just horny’, 코러스가 아름다운 ‘Kiddle pool’은 밋밋한 나머지 수록곡들과 수준차를 드러낸다. 롱런을 위해 극복해야 할 지점이다.

역사적으로 음악은 보통 20년에서 25년을 주기로 재조명 받는다. 1950년대의 초기 로큰롤이 1980년을 전후한 시기에 다시 주목 받았고 1970년대의 디스코는 1990년대 후반에, 1980년대의 신스팝은 2000년대 후반, 1960년대 후반의 개러지 록은 1990년대 후반에 부활했다. 2022년 지금은 20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인기를 얻었던 팝 펑크가 부상하고 있다. 게일은 그 틈새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획득했지만 음반 제작사는 2집의 상업적 성공을 위해 독기 빠진 순한 앨범을 원할 것이다. 이것으로 게일의 음악색은 옅어지고 자신의 언어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다. 결국 시간이 지나도 < A Study Of The Human Experience Volume One >은 게일의 대표 앨범이 될 것이다.

-수록곡-
1. Luv starved
2. Abcdefu (추천)
3. Sleeping with my friends
4. Ur just horny
5. E-Z
6. Kiddle pool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