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오마이걸(OH MY GIRL) ‘NONSTOP'(2020)

평가: 3/5

개운치 않은 성공

사실 ‘살짝 설렜어’를 처음 들었을 땐 다른 걸그룹의 앨범을 잘못 플레이한 줄 알았다. 선율 중심의 팝송을 추구하던 그들이, 갑작스레 무난한 트로피컬 하우스라니. 나름의 의욕적인 시도였겠지만, 개인적인 실망감은 감출 수 없었다. ‘Windy day’에 혹하고 ‘비밀정원’에 빠져든 후 ‘다섯 번째 계절(SSFWL)’에 감동했던 입장에서, 그간 착실하게 쌓아온 그룹의 캐릭터를 한순간에 뒤집어버리는 듯한, 스스로 너무 평범해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활동이 종료되고 이 곡이 커리어의 최고 성과를 거둔 지금에도, 이들이 보여준 타이틀곡 중 가장 매력이 덜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명확히 말해 이 노래는 오마이걸이 아니어도 할 수 있는 스타일이다. 그럼에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 퀸덤 >을 통한 새로운 팬덤의 유입과 더불어, 이 노래의 형식이 KPOP하면 보편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표준모델에 가까워 익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 퀸덤 > 이후 달라진 상황에서 A&R은 많은 고심을 거듭했을 것이고, 기존의 지지층과 새로운 팬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떠올린 것이 ‘살짝 설렜어’와 같은 스탠다드를 활용하는 전략이지 않았나 싶다.

다행히도 수록곡들은 충실히 제 몫들을 해내고 있다. 특히 ‘Dolphin’의 만듦새는 놀랍다. 아이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의 언급된 것이 화제의 시초이긴 했지만, 장기간 음원차트의 상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은 전적으로 노래의 힘이다. 가사에 담긴 독특한 발상, 이를 음악으로 이미지화하는 미니멀한 프로그래밍이 일반적인 프로듀싱과 명확히 선을 긋는다. 조곤조곤 이야기하는 듯한 멤버들의 곡 이해도 및 표현력 또한 완성도의 한 축으로 작용한다. ‘da da da da da’라는 단순한 가사가 이렇게 맛깔나게 담겨 있는 노래가 또 있었나 싶을 정도. 그야말로 트렌드를 통한 진화의 이상향을 보여주며, 타이틀로 밀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나머지 세 곡은 ‘내가 알던 오마이걸’에 가깝다. ‘꽃차’는 노랫말에 맞는 따스한 가창과 재즈의 문법을 도입한 반주가 좋은 합을 보여주는 발라드. 8비트 퍼커션과 빈티지한 신시사이저가 발랄한 레트로 팝을 표방하는 ‘Ne♡n’은 그룹 특유의 대중성이 담겨있는 트랙으로, 풍성한 화음이 장식하는 후렴구가 귀에 꽂힌다. 더불어 1세대 케이팝 팬들이라면 왠지 모르게 익숙할, 세기말의 아련함을 극대화한 ‘Krystal’까지.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트랙들이 앨범의 완성도에 일조하고 있다.

타이틀곡의 아쉬움을 수록곡들이 메워주는, 새로운 지향점과 기존의 정체성이 알차게 담겨 있는 작품이다. 다만, 그룹이나 소속사에게 많은 고민거리를 던질 앨범이기도 하다. 고유의 색을 덜어낸 ‘살짝 설렜어’가 최대 히트곡이 된 시점에서, 과연 ‘번지’나 ‘다섯 번째 계절(SSFWL)’, ‘불꽃놀이’와 같은 팝 노선으로 다시금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이번 성공이 대중의 니즈임을 인식하고 ‘살짝 설렜어’와 같은 기조를 유지할 것인지. 성공의 달콤함을 충분히 누리기도 전에 부딪힌 과제에 고민이 많을 법하다. 그래도 크게 걱정은 되지 않는다. 이를 풀어낼 실마리와 가능성이 이 앨범에 충분히 담겨있으니까.

– 수록곡 –
1. 살짝 설렜어(Nonstop)
2. Dolphin 
3. 꽃차(Flower Tea)
4. Ne♡n
5. Krystal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있지(ITZY) ‘IT’z Me'(2020)

평가: 2/5

있지의 다섯 멤버 예지, 리아, 류진, 채령, 유나는 ‘Wannabe’의 후렴에서 ‘다른 누군가가 되고 싶진 않아, 난 그저 나이고 싶어(I don’t wanna be somebody / Just wanna be me)’를 힘차게 외친다. 하지만 의도와는 반대로 멤버들의 목소리가 하나로 모아지는 이 지점에서 곡명처럼 수많은 ‘워너비’들의 흔적이 포착된다.

투애니원 스타일의 멜로디와 메탈 기타 리프의 후렴부, 블랙핑크와 레드 벨벳이 겹쳐가는 5인조 구성과 보컬 운용, 미스에이와 트와이스로부터 이어받은 JYP 특유의 활기찬 이미지가 한 데 모여 있다. 제목은 ‘달라달라’였으나 그리 다르지 않았던 데뷔곡의 기조를 이어간다. 

흥미롭게도 이 ‘다르지 않음’은 있지가 데뷔 후 빠르게 인기를 확보하며 대중적 성공을 거두게 만든 으뜸 요소다. 이들은 독특한 콘셉트나 사운드, 스토리텔링 대신 거대 기획사의 일반적인 육성 및 데뷔 과정, 보편적인 걸 크러쉬를 따른다.

< ITz Me >의 곡들은 2010년대 초 EDM 유행을 적극 참고하고 리틀 믹스, 피프스 하모니 등 해외 걸그룹들의 스타일을 닮았으며 ‘누가 뭐래도 난 나야'(‘Wannabe’), ‘태생이 그래 난 흥이 넘쳐 / 열일곱 살인데 뭐 그래 봤자'(‘That’s a no no’) 등 직설적이고 공격적인 가사를 뱉는다. 활용하는 작법 모두가 현재보다 과거와 가깝다.

마치 앞서 언급한 선배 그룹들 및 과거 케이팝을 종합한 평균치를 보는 듯하다. 그렇다 보니 있지는 JYP 걸그룹의 계보 중 가장 평범한 팀이 됐다. 복고의 원더걸스, 당당한 미스에이, 발랄한 트와이스만큼 확고하지 않다. 미국식 펑크(Funk) 디스코에서 유로 댄스와 일렉트로닉으로 선회하는 최근 소속사의 음악 기조만이 선명한데, 이마저도 케이팝 규격에 다듬어진 탓에 듣는 재미가 반감된다.

퓨처 하우스를 개척한 DJ 올리버 헬덴스(Oliver Heldens)의 ‘Ting ting ting’, 혁신적인 샘플 운용과 과감한 구성으로 주목받은 소피(SOPHIE)가 참여한 ’24Hrs’가 그 예로, 놀라운 작곡가의 이름값에 비해 멤버들의 퍼포먼스는 평범하다.

로킹한 기타 연주를 더한 ‘Wannabe’ 역시 다양한 샘플을 운용했으나 밀도 있게 신인의 패기를 밀고 나가던 ‘달라달라’, ‘ICY’만큼의 쾌감이 크지 않다. 그래서 비교적 귀에 잘 들어오는 곡들은 확실한 노선을 갖춘 곡이다.

강렬한 록 사운드를 바탕으로 한 ‘Nobody like you’나 뭄바톤으로 시작해 트랩을 섞어 강한 기조를 이어가는 ‘That’s a no no’, 처지는 부분 없이 정직한 파티 튠 ‘I don’t wanna dance’가 흐트러짐 없이 당찬 이미지를 향해 달려간다. ‘ICY’의 그루비한 면모보단 ‘달라달라’의 과감한 질주야말로 대중이 그들에게 바라는 것임을 정확히 파악했기에 가능한 포지셔닝이다. 

있지에겐 소속사와 팀 단위의 확실한 계획이 있다. 대중성이 실종되고 팬덤 위주 소비로 재편되는 케이팝 시장에서 이들은 오히려 고전적인 전략을 채택해 범 대중적인 ‘국민 걸그룹’을 꿈꾼다. 숱한 선배 ‘Wannabe’들의 모습을 닮아야 하고 ‘달라달라’라 말하지만 묘한 기시감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겠다는 조바심 대신 잘하는 것에 집중하며 답을 찾으려는 전략, 세대교체의 시기를 노려 대중적 성공을 거뒀으나 아직 이 팀에게 어떤 개성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흥행을 바탕으로 ‘누가 뭐라 해도 난 나야 / 난 그냥 내가 되고 싶어’라는 노랫말을 쫓아야 한다. 

– 수록곡 –
1. Wannabe 
2. Ting ting ting with Oliver Heldens
3. That’s a no no
4. Nobody like you 
5. You make me
6. I don’t wanna dance 
7. 24H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