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페노메코(Penomeco) ‘ [ Rorschach ] Part 2’ (2023)

평가: 3.5/5

페노메코가 지닌 음악적 이중인격은 양면의 경력을 쌓아 올렸다. < Garden >과 < Dry flower >에 싱잉 랩이 만개하는 와중에도 이따금 래퍼로서 역량을 의심받을 때마다 광적인 벌스를 선보이며 좌중을 침묵시키기도 했다. 이 우직한 행보가 어느새 10년, 그는 자기 정체성을 확증하기 위해 ‘로르샤흐’ 심리검사를 수행한다. 잉크를 흩뿌린 검은 종이 위 두 번째 자아의 본격적인 각성을 꾀하기 위함이다.

웅장하고 냉철한 비트 위 타겟을 향한 정밀한 사격이 이어진다. 절친한 지코와 함께 ‘Rindaman’과 ‘피융!(Pew!)’을 연사한 1부에 이어 다시금 ‘Ghost’로 노력과 애정없는 래퍼들에게 날카로운 비수를 던진 것이다. 타격감 넘치는 구절 사이 어색하지 않게 혼합된 멜로디컬한 랩과 착 감기는 후렴구의 조합은 페노메코 완성본 그 자체며 절정에 다다르기 위한 예열로써 적합한 인트로다.

주도권을 거머쥔 페르소나는 그가 자주 되뇌듯 전례 없는 걸 내놓는다. 타이틀 ‘X’는 ‘전사의 후예’를 재료 삼아 한국의 올드스쿨 힙합을 세밀히 정제하고 리모델링한 작품. 탄탄한 기본기는 물론이고 과거로부터 공수해 온 투박한 플로우와 분위기를 촌스럽지 않게 꾸민 덕분에 업계와 본인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물이 탄생했다. 자연스레 서태지가 연상되는 도입부와 에이치오티(H.O.T.)를 오마주한 가사를 통해 누군가는 유년기를 회상하고 누군가는 신선한 자극을 받게 될 테다.

다분히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접근이다. 2021년 창모가 < Underground Rockstar >의 ‘태지’로 자신의 독보적인 위치를 서태지와 일치시키며 그 시대를 추억했다면, 페노메코는 1990년대 전체를 현대로 끌어와 세대 간 연결에 집중했다. 시작은 당대의 아이돌을 연구하며 근간을 찾고 현재 본인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확신하는 구도자의 자세로, 그 끝은 힙합의 문을 열어준 X세대를 향해 존경을 표하는 방식이다. 야성적인 표현도, 섬세하게 고심한 태도도 더없이 진중하다.

물론 타이틀의 존재감으로 인해 중후반부의 반향은 그다지 크지 않다. 싱잉 랩의 또 다른 강자 루피와 합을 맞춘 ‘Bangers’는 두 사람에게 기대한 시너지와는 다른 방향으로 흐르며 적당한 연결부로만 기능한다. ‘나를 넘어서는 게 first’ 등의 가사로 개인적인 경험에 집중한 ‘Yak yak’이나 감성의 손길이 닿은 ‘23 part. 2’는 그의 음악 세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맡는다.

2부로 구성된 [ Rorschach ] 시리즈는 그간 충분한 증명에도 주목도가 높지 않았던 음반 활동의 갈증을 통쾌하게 씻어낸다. 오래도록 조준점을 노려본 페노메코는 본인도 수긍할 만한 명분과 대중 취향 사이 어느 지점을 찾아 정조준했다. 확신에 찬 검지로 묵직한 방아쇠를 당긴 순간, 일직선으로 곧게 뻗은 탄도에 흔들림과 빈틈은 없었다.

– 수록곡 –

1. Ghost (Feat. 개코 & 바이스벌사) 
2. X 
3. Yak yak
4. Quick fast
5. Bangers (Feat. 루피)
6. 23 pt.2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보이비, 개코 ‘Pep’ (Feat. 정상수) (2022)

평가: 2.5/5

아메바컬쳐를 떠나 새 둥지를 마련한 리듬파워의 보이비가 오랜만에 친정팀의 수장 개코와 손을 잡았다. 반가운 협업의 배경에는 밈(Meme)의 요소가 가득하다. 뉴트로 바람에 힘입어 다시 전성기를 맞은 포켓몬스터 속 닥트리오를 패러디한 커버와 영국의 축구 클럽 맨체스터 시티의 민머리 감독 펩 과르디올라가 떠오르는 ‘Pep’이라는 제목이 장난스러운 곡의 의도를 드러낸다.

가벼움 속에서도 힙합 특유의 자기 과시적 성향을 유지한다. 강한 베이스 위에 늘어놓은 세계 유명 민머리들 이름 사이에 자신들을 포함하며 기세를 드러낸다. 간신히 낙제를 면한 정상수의 벌스가 곡 말미에 감흥을 꺾지만, 음악성에 집중하지 않는 힙합 신을 향한 개코의 촌철살인 가사와 보이비의 힘 있는 발성은 알고리즘을 채우기에 모자람이 없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개코, 다비치 ‘새벽을 믿지 말자’ (2022)

평가: 2.5/5

엔씨소프트 산하 문화콘텐츠 브랜드 피버의 ‘즐거운 상상’ 프로젝트 음원. 몽롱한 신시사이저와 미니멀리즘을 앞세운 편곡이 새벽 공기의 쓸쓸함을 연출하고 그 뒤로 포개지는 코러스가 감수성을 배가한다. 안정감 있는 보컬을 선보인 개코가 발라드 듀오 다비치와 의외의 시너지를 발휘해 무덤덤하면서도 깊은 감성을 지닌 알앤비 넘버를 합작했다. 노래의 배경엔 소속사 선배를 위해 힘을 보탠 아메바 컬쳐 사단의 공이 크다. 다만 이들의 색이 너무 짙어 되려 색채가 모호해졌다. 작사 작곡에 참여한 알앤비 대세 주자 쏠과 따마의 터치가 새벽 감성 저격에는 성공했을지라도 곡의 주인을 혼동스럽게 한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쏠(SOLE) ‘왜 (Feat. 개코)’ (2021)

평가: 3/5

영혼(Soul)과 유일한(Sole), 본명(이소리)의 의미를 품은 쏠(SOLE)은 아티스트의 이름처럼 영혼을 담은 유일무이한 알앤비 소리를 구현하기 위해 그 행보를 이어간다. 2017년 힙합, 알앤비 음악 집단 디바인 채널에서 리듬감 넘치는 데뷔곡 ‘Ride’를 발표한 그는 2020년 초 아메바컬쳐로 둥지를 옮겨 경력의 분기점을 마련했다. 새벽 감성에 어울리는 신곡 ‘왜’는 회사의 수장인 개코의 지원 사격을 받아 향후 힙합 뮤지션들과의 활발한 협업을 예고한다.

‘그저 스쳐 지나간 사람일 뿐이라 해도, 왜 다시 찾고 있는 건지’라며 인연을 그리워하는 노랫말엔 낭만과 침잠이 공존하고 영화 < 중경삼림 >의 감각적인 비주얼과 톤을 옮겨온 뮤직비디오로 그 감수성을 이미지화한다. 짧은 만남에도 잊히지 않는 사람, 강렬하게 남은 기억. 개코의 랩은 쏠과 대응하는 남자의 입장처럼 들리지만 그리움의 정서를 코인과 수익 구간에 비유하며 감정선을 깨뜨린다. 힘을 뺀 자연스러운 가창은 곡선의 알앤비 음악과 조응하고 타격감 있는 비트 사이로 뚜렷한 인상을 남긴다. 상쾌한 곡을 주로 불러왔던 쏠의 음색이 몽환적인 분위기에 잘 녹아듦을 증명했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개코, Nitti Gritti, KAKU ‘Pass out'(2020)

평가: 2.5/5

국내외 아티스트의 콜라보송 발매에 주력하는 레이블 ‘코넥티드’를 통해 나온 노래다. 미국 출신 프로듀서 니티 그리티(Nittie Gritti)와 도쿄 태생으로 아시아 활동을 이어가는 DJ 카쿠(KAKU)가 개코와 손을 잡았다.

조금은 인기가 시들해진 강렬한 저음과 힘 센 비트의 트랩이 문을 연다. 요새 열렬한 주목을 받는 비의 ‘깡’이 연상되는 와중 개코의 콕콕 박히는 래핑이 좋은 에너지를 쏟아낸다. 딱 거기까지. 화합의 명목은 좋지만 전체적인 사운드 조합이 시기를 (많이) 놓친 듯 싶고 오직 개코의 랩만 생생하게 살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