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친 쉰 소리를 내는 목소리에 주목해보자. 목소리만 들어선 쉬이 성별을 구별할 수 없고 남자 화장실에서 바지춤을 여미는 여성의 모습을 담은 커버는 모호한 이중성을 드러낸다. ‘I rap but female 최고이자 최악 조건’. 여성 래퍼 다민이의 성별은 귀 기울이지 않으면 알아차리기 어렵다.
그의 성별 지우기는 ‘매사 빡쳐 있어’ 화가 나 있는(혹은 있는 듯한) 창법을 통해 진행된다. 다민이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직접 구별짓기를 시도한다. 그는 엉덩이를 무기로 사용하고 얼굴을 실력 앞에 세우는 ‘여성 래퍼’들과 자신은 다르고 말한다. ‘힙합 한다는 계집애 방탕해지래’라는 가사로 주류 시선을 비판하지만 이 역시 앞선 ‘여성 래퍼’와 자신을 구별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즉, 그는 여성 혐오적인 고정 관념을 끌어오고 동시에 이를 비판적으로 전유하나 그 기반에는 여전히 여성 혐오 논리를 바탕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이 접근이 실없거나 혹은 내실 없는 겉치레로 느껴지지 않는다. 강렬하게 와 닿는 랩 스킬과 거침없는 비유 및 표현력 덕택이다.
다민이의 랩 안에는 ‘남’부럽지 않은 욕설과 개인 서사와 한 줌의 성차별 혹은 성 전복이 담겨있다. 남성 래퍼들의 자기 과시 래퍼런스와 닮은 이 접근은 명백히 여성 혐오를 내재한다. 하지만 이를 힙합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으로 읽을 때 해석은 달라진다. 그 방향이 어떻게 흐를지 두고 봐야겠지만 지금의 다민이는 읽을거리 많은 여러모로 돋보이는 (여성) 래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