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Interview

유병열 인터뷰

이를 두고 일정 부분 자포자기 혹은 관망 상태임을 고백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정중동이다.

기타리스트 유병열의 음악 인생은 길고 굽이굽이 이야기가 들어차 있다. 1990년대 윤도현 밴드(현 YB)의 주축 멤버로 데뷔해 비갠 후, 바스켓노트를 거쳐 최근엔 산울림의 김창훈이 만든 김창훈과 블랙스톤즈로 음악 활동을 이어왔다. 산울림 음악을 바탕으로 한 창작 뮤지컬 < 창문너머 어렴풋이 >의 음악감독 역시 유병열이다. 다각도로 쉬지 않고 활동하는 원동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그저 웃으며 “전투적인 사람의 덩어리로 태어났다”라고 답했다.

유병열은 하지만 고민이 많다. 한국 최초로 록 기타리스트들의 축제 < 골든핑거 >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이에 맞춰 ‘지구를 지켜라’라는 테마의 싱글 ‘We want green earth’를 발매했지만 세간의 관심은 요원하기만 하다. 이를 두고 일정 부분 자포자기 혹은 관망 상태임을 고백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정중동이다. 모든 걸 쏟아부은 자만의 ‘초연함’이랄까. 최근 활동을 중심으로 기타리스트 유병열의 현재를 돌아봤다.

얼마 전 < 골든핑거 기타페스티벌 >(이하 ‘골든핑거’)을 ‘비대면’으로 끝냈다.
첫 회는 창동에서, 두 번째는 통영에서 대면으로 공연했는데 3회에 이어 이번 4회 차 역시 비대면으로 진행했다.

기타리스트 공연을 비대면으로 한다는 게 감이 잘 안 잡힌다. 노래 없이 기타만 치는 것이기 때문에 조금 쉽게 성사된 면도 있지 않나?
오히려 연주곡 중심이라서 더 안 될 거로 생각했다. 왜냐하면 연주는 유튜브에 너무 많다.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니까 ‘이걸 돈 내고 봐야 하나?’ 하는 생각을 할 거라고 봤다. 그래서 공연 준비하면서 애로사항도 많았고…

뭐가 애로사항이었는지?
대면으로 했던 1~2회 공연은 거의 매진이었다. 물론 통영에서 공연할 땐 통영 플랫폼을 통해서 입장료가 비싸지는 않았지만… 하지만 싸다고 관객이 오는 건 아니다. 그렇게 붐이 일어서 좋았는데 코로나 때문에 비대면으로 전환하면서 아쉬움이 컸다. “유튜브로 다 볼 수 있는데 뭐 하러 돈 내고 영상을 봐?” 하는 생각이 들지 않게 장비를 엄청나게 들여왔다. 진짜 방송처럼 지미집을 동원하기도 했는데 그래도 한계는 있었다.

현장에서 기타 연주 공연을 보니까 예상보다 울림이 크던데… 대면이 매진됐다는 게 이해가 된다.
사람들이 몰라서 그렇지 실제로 기타 공연을 보면 감동도 있고 재미도 있다. 우리가 항상 가수들 뒤에서 연주하거나 록 밴드에서도 보컬 뒤에서 연주하니까 사람들이 잘 모르는 거다. 연주만 가지고도 정말로 충분히 감동할 수 있다. 이 공연이 그런 계기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톡톡히 했을 거다.

이번 공연에서 적게는 3, 4살 많게는 10살 정도의 나이 차이가 나는 기타리스트와 함께했다. 특별히 느낀 바가 있다면?
솔직히 말해서 다 개성이 있다. 예전에는 누가 더 잘 치는 것 같으면 열 받고 뒤에서 연습하고 그랬다. 근데 지금은, 내가 기타를 30년 넘게 쳤는데… (웃음) 지금은 전혀 그런 게 없다. 황린(< 골든핑거 >에 참여한 젊은 기타리스트) 같은 애들을 보면 ‘얘는 아이디어가 좋구나’, 또 ‘쟤는 어린데 잘 치네’ 그런다. 동시에 또 ‘그럴 때지’ 하는 생각도 든다. 나도 젊을 때는 특이한 것 치려고 난리 치던 시기가 있었다. 그런 점에 대해서 인정하고 ‘저 사람은 나보다 손가락이 두 배가 빠르네’ 이러고 만다.

그렇게 다양한 나이대의 사람들이 모여 < 골든핑거 >를 성황리에 마쳤고 환경에 관한 싱글 ‘We want green earth’도 냈다. 곡을 내게 된 배경은?
일단 환경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갖게 됐다. 내가 키우는 강아지도 있고 그래서 더 기후 변화나 다큐멘터리를 찾아보는 편이다. 요즘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는데 매스컴 등에 덜 노출되다 보니까 사람들이 심각성을 모르는 것 같다. 내가 음악 하면서 할 수 있는 게 이런 거니까, 그래서 곡을 썼다.

처음부터 < 골든핑거 >에 참여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려는 기획이었나?
< 골든핑거 >라는 연주 공연을 계속하고 있었고 또 거기에 (싱글 발표가) 맞물려 있었다. 아무래도 이럴 때 무대에 서는 사람들이랑 소통하는 게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지 않나. 보통 곡들은 노래 중심인데 이번에는 이런 장점들을 살려 8분 남짓의 연주 중심 곡을 썼다.

과거 록 분야에서 환경 관련 메시지를 담은 노래들이 꽤 주목받았다. 그런 면에서 이번 싱글의 가치와 시의성이 상당하다고 본다.
지속해서 어느 정도의 연계성을 갖고 계속 발표하고 싶다. 사람들이 이 곡을 듣고 각성을 하든 안 하든, 노출되든 안 되든 상관없이 말이다. 사실 이 곡을 가지고 ‘플라스틱 챌린지’를 SNS에서 진행했는데 잘 안됐다. 누굴 지목해서 플라스틱 분리수거를 하고 그 인증사진을 올리는 걸 했다. 당연히 길게 연결되지 않았다. 나름대로 시도는 했는데 유명인이 아니니까 그 흐름이 끊어지더라.

국내 정상급 기타리스트인데…
최고라는 소리를 종종 듣는데 그럴 때마다 뭐가 최고라는 거지? 최고라고 하면서 처우가 왜 이러는지 생각하곤 한다. (씁쓸하다고 말하니) 슬프지만 그게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외국에서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사람이 있고 핫한 신인들이 나오면 그 둘이 함께 간다. 근데 우리는 신인 애들이 나오면 옛날 사람은 그냥 없는 사람이 된다. 요즘 많은 연주자도 윗세대 연주자들을 모른다. 당연히 나도 잘 모를 거다. 실용음악과가 생기면서 입시 위주의 ‘이런 곡을 들어야 해!’하는 게 생기니까 속된 말로 ‘실용 펑키(Funky)(입시 때 연주 실력을 잘 보여줄 수 있는 펑키한 곡을 많이 연주하곤 한다 -편집자)’ 스타일의 기타 연주 흐름이 생겼다고 본다.

유병열은 기타리스트이자 창작자이기도 하다. YB의 초창기 히트곡 ‘먼 훗날’, ‘가리지좀 마’가 그의 손에서 탄생했고 상기한 다양한 밴드를 이끌며 대중의 관심도와 상관없이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었다. 직접 쓴 많은 곡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노래가 무엇이냐 물으니 예상 밖으로 비교적 최근에 발매한 ‘길꽃같은 우리’를 꼽았다.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 이야기를 길가에 피어있는 생명이 질긴 꽃에 비유한 노래라고 했다. 작사, 작곡 그리고 뮤직비디오의 촬영 및 편집까지 전부 그가 한 곡이다.

요즘 젊은 친구들의 기타 치는 스타일이 있다고 보는 건가?
근데 이건 유행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카시오페아(일본의 퓨전 재즈 밴드)가 유행할 때 다 그 스타일을 따라 하는 것 같은 느낌? 마치 그랬던 것처럼 비슷한 플레이들이 많아서 아쉬운 것들이 있다. (지금도 어떤 하나의 스타일에 쏠리는 것 같으냐 물으니) 그렇다. 지금 친구들은 어떻게 보면 다 실용음악과에 맞춰져 버렸다. 대학을 가기 위해, 입시 곡 위주로 기타를 배우다 보니까 거의 다 그쪽으로 먼저 빠진다. 그렇게 안 치면 ‘구리다’고 한다. 그래서 톤도 다 비슷하고.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준다면?
나는 앰프 세대다. 오프라인에 직접 앰프를 써서 거기서 나는 소리가 콘솔로 가는 거다. 근데 요즘은 ‘앰프 시뮬레이션’을 건다. 앰프 없이 다이렉트로 콘솔에 소리를 받는다. 그러다 보니까 소리가 건조하다. 대신 선명도는 있고 입체감은 떨어지는 차가운 톤이 된다. 전형적인 디지털 톤이랄까? 또 예전에는 굵은 저음도 막 둥둥 나왔다면 요새는 얇게 저음도 딱 깎고 하이도 딱 깎는다. 듣기 편한 소리. 어쩌면 전형적인 세션 맨 톤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

요새 음악이 좀 들리기는 하나? 음악을 한다는 것에 대해 많은 생각이 들 것 같기도 한데.
음악하고 있는 자체도 재미없다. (태연한 어조로) 제일 재밌는 거는 산에 가 있는 거다. 아침에 등산해서 산에 있는 거랑 맨날 자연 보는 게 낙이다. 언젠가는 시골에 가서 살고 싶다. 가족이랑 같이 시골 가서 우리끼리 텃밭 가꾸고 사는 게 꿈이다. 음악이 꿈이 아니라, 기타리스트 유병열의 꿈이 아니라. 사람 자체로서의 꿈이다. 그때는 음악 안 해도 된다, 나는. (웃음)

현재 진행 중인 별도의 기획은 없나?
원래는 한 달에 한 번씩 싱글을 계속 냈다. 아마 올해 3월까지 싱글을 냈던 것 같다. 근데 이게 맞는 건지… 그렇게 계속 내다보니까 사람들이 그거에 대해서 별로 감흥이 없기도 하고 그걸 모아서 정규로 낼까 싶기도 하고. 고민하고 있다. 요즘에 약간 정체기다. 그래도 곡은 한 20곡 정도 써뒀다. 그걸 2장짜리로 해서 아트록처럼 스토리가 있게, 타이틀을 딱 정해서 앨범으로 내려 하다가 흐지부지됐다.

앞으로의 음악 활동을 어떻게 꾸려가고 싶은가?
계획이 없다. 솔직하게 심정을 얘기하면 내 창작은 이제 계획하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안 하면 안 하는 거고 자연스럽게 (활동이) 이어지면 하는 거고…

그렇게 말하는 것을 들으니 어딘지 마음 한 편이 씁쓸하다.
(더 밝게 웃으며) 경험이 너무 많아서, 지레짐작으로 상상을 해서 내가 걸러 버리는 거다. 뚜렷한 변화가 있을 때… 새로운 길을 모색해보겠다. 하하하!

‘산’, ‘요즘 애들’, ‘나 때는’이라는 말 사이 ‘꼰대’라는 단어가 번쩍 튀어나왔다. 그는 자신을 종종 꼰대라고 불렀다. 하지만 그의 비판과 잔소리에는 강단이 묻어 있었다. 오랜 시간 한 자리에서 욕심껏 기타를 친 연륜 있는 자의 자신감 혹은 주관은, 결코 먼지 쌓인 고루한 말들이 될 수 없다. 언제 연주를 그만둘지 모르겠다고 버릇처럼 말했지만 인터뷰 당일에도 내내 연습실에서 시간을 보내고 온 그였다.

자신을 ‘전투적이며 하나에 꽂히면 미치는 사람’이라 표현한 그는 후회 없이 기타를 털어낼 수 있을 만큼 기타연주에 모든 것을 토해냈다. “음악을 관둘 때 지저분하게 관두기 싫다. 하루아침에 사라질 거다. 확 불 지르고 마른 장작처럼 한 번에 없어질 거다. 그때는 미련 없이 음악을 떠날 거다” 모든 것을 쏟아부은 자에게 후회란 없다. 자포자기 같은 톤의 언어들에서도 그런 열정과 달관이 쉼 없이 새어 나왔다.

인터뷰: 임진모, 임동엽, 박수진
정리: 박수진
사진: 임동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