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Feature I Am Woman

이유 있는 목소리 ‘We, Do It Together’

이유 있는 목소리가 모여 이유 있는 변화를 썼다.

몇 달 전부터 SNS에 심심찮게 공유되는 포스트가 있었다. 여성들이 주축이 되어 만드는 연대의 목소리가 그 키워드였다. 여성 록 컴필레이션 음반 < We, Do It Together >.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인 텀블벅을 통해 앨범 제작을 위한 자금을 모았고 이는 이들이 쏘아 올린 에너지만큼이나 금방 뭉쳐졌다. 진즉에 애초 목표 금액인 4백만 원을 달성했다. 지난 11월 16일, 이들의 프로젝트는 최종적으로 216%인 8백 6십여 만원의 성금을 모았다. 그만큼 많은 지지가 쏟아졌다.

여성 록 컴필레이션 음반이라고 소개하긴 했지만 12팀의 인디 뮤지션들이 만든 12곡은 록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음악가부터 활동 기간에 비해 큰 주목을 받지 못한 아티스트들까지 고루 모였다.

인디 씬의 태동부터 선 굵은 이미지를 남긴 ‘황보령’, 국악인 이자람이 주축이 되어 만든 ‘아마도 이자람밴드’를 비롯하여 지난해 첫 정규 음반을 발매한 ‘천미지’, 문소문이란 그룹으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는 ‘카코포니’, 다국적 밴드 ‘티어파크’ 등 다양한 색채의 뮤지션들이 한뜻 아래 손을 잡았다.

GIRLS INDIE] '홍대여신' 거부하는 12팀 록밴드 프로젝트가 온다 > 뉴스 | 라온미디어 - 인디음악 뉴스

시작은 에고펑션에러의 보컬 김민정이 가진 의문 덕이었다. ‘일본에는 여성 록 컴필레이션 음반이 많은데 왜 국내에는 없을까?’ 작은 의문은 이내 행동으로 옮길 수밖에 없는 필연적 사건들을 만난다.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을 시작으로 이후 우후죽순 터진 인디 씬 내의 여러 성 관련 문제들을 마주했다. 그는 “홍대에 탈덕 유발자들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을 보여주기로 마음먹는다. 여성 인권 신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 내고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여성 음악가를 더욱 널리 크게 알리자는 목표 또한 겸했다.

빌리 카터의 보컬 김지원을 동반자로, 일렉트릭 뮤직의 대표 김민규를 조력자로 얻었다. 이름하여 ‘WEWEWE 기획단’이 탄생했다. 2018년에는 여성 퀴어 음악가를 위한 기획 시리즈 공연을 두 차례 펼쳤고 2019년에는 여성 음악가, 창작자, 관객이 연대하는 ‘wewewe networking party’를 주관했다. 그렇게 2020년의 끝, 오랜 예열 끝에 < We, Do It Together >가 발매됐다. 앨범 발매 이후 11월 29일에는 ‘WeWeWe festa2020’을 열었다. 코로나 19로 인해 콘서트 현장에는 40여 명의 한정된 인원만 참석했지만 유튜브 생중계로 그 열기를 전했다. 작지만 강한 움직임이 실행됐고 실현된 순간이었다.

멜로디가 부각되는 이모 팝 밴드 아디오스 오디오의 ‘숨’은 ‘너와 나의 숨을 뱉어 / 두려워 하지마’ 노래한다. 어쿠스틱 기타를 중심으로 오묘하게 차올라 어딘지 시린 감정을 삼키게 하는 다브다의 곡 ‘무궁화’, ‘잘 했습니다 / 수고 많았습니다 / 괜찮았습니다’ 직접적인 위로를 건네는 ‘Good night’의 아마도 이자람 밴드 등 음반에는 즐길 노래들 또한 많다. 모두가 이 앨범을 위해 직접 노래를 썼다. 불협화음을 부딪치며 기이한 쾌감을 선사하는 티어파크를 발견할 수 있는가 하면 ‘술에 취했다는 변명 / 먹통의 부끄러움이 왜 우리의 몫인가’ 일갈하는 에고펑션에러의 외침은 전에 없이 시원한 사이다 같은 한방이다.

이유 있는 목소리가 모여 이유 있는 변화를 썼다. 이들 앞에 ‘여성’이라는 프레임을 붙이는 것이 어쩐지 또 다른 무게를 지어주는 것만 같아 고려되지만 그럼에도 이들은 멋지게 새-흐름을 시작했다. < We, Do It Together >. 작지만 강한 조류가 균열을 낸다. 주체성을 필두로 메시지를 전하는 많은 ‘여성’ 음악가들이 있다. 이 음반은 묻게 한다. 왜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는가. 그리고 이들은 듣게 한다. 이들이 설파하는 분노의 메시지와 품에 안은 연대의 마음을. 따뜻하고도 강렬한 등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