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특집 Feature

방탄소년단과 브레이브걸스의 평행이론

이 두 팀의 평행이론에 근거가 되는 세 가지를 (억지로) 엮어본다.

‘다른 시간과 공간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사람의 운명이 같은 식으로 반복된다.’ 많은 사람들이 어렴풋이 뉘앙스를 알지만 정확히 뜻을 모르는 평행이론의 정의다. 세상 많은 곳에서 이 미신적인 법칙이 실제로 발생하지만 의도적으로 생산하는 경우도 없지 않다. 도대체 어디에 방탄소년단과 브레이브 걸스의 평행이론이 존재할까? 지금부터 이 두 팀의 평행이론에 근거가 되는 세 가지를 (억지로) 엮어본다.

1. 외국에서 더 난리 난 신토불이
방탄소년단이 ‘I need U’로 첫 1위를 차지했지만 그때까지는 그들만의 세상에서 서서히 부상하는 지역구 스타였다. 이때까지 많은 사람들은 방탄소년단을 몰랐고 관심도 없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에 ‘봄날’이 폭발했지만 해외에서는 ‘불타오르네’의 영상이 아시아와 유럽을 시작으로 불꽃이 타오르기 시작했다. 2017년에 공개한 ‘DNA’로 그해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무대에 오르면서 미국 입성에도 성공했다. 전면적인 역수입은 아니었지만 방탄소년단을 잘 모르거나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도 그들의 음반이 빌보드 앨범차트 정상에 오르고 미국 텔레비전에 출연하고 나서야 방탄소년단에게 집중했다. ‘국민 아이돌’이라는 타이틀이 바뀌는 순간이었다.

10년 동안 활동했지만 일부 팬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무명에 가까웠던 브레이브걸스도 외국의 반응이 상대적으로 더 뜨거웠다. 2017년, 전 세계에 케이팝을 알리기 위한 < 케이콘 > 공연에서 브레이브걸스가 ‘Rollin”을 부를 때 외국인들은 한국어로 노래를 따라 불렀고, 브레이브걸스의 뮤직비디오와 공연 동영상에 외국어 댓글이 적지 않게 등장한다. 심지어 케이팝 커버 댄스 대회에서 ‘Rollin” 안무를 추는 외국인 참가자가 있을 정도. 그런 해외 팬들이 최근 ‘Rollin”의 역주행을 기뻐하며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문화적 사대주의까지는 아니지만 방탄소년단과 브레이브걸스가 해외에서의 좋은 반응을 발판 삼아 한층 더 성장한 것만큼은 부정할 순 없다.

2. 방탄소년단의 ‘아미(Army)’와 브레이브걸스의 ‘레알 아미(Real Army)’
전 세계 팬덤 중에서 가장 막강한 파워를 소유한 아미는 모든 걸 바꾼다. 시위 문화부터 역사 인식, 사회적 이슈, 심지어는 부모와의 갈등까지 크고 작은 문제에 적극 개입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하려고 한다. 그런데 요즘 강력한 경쟁상대가 등장했다. ‘레알 아미’다.

알려진 대로 브레이브걸스 역주행의 일등공신은 군인과 예비역이다. ‘은혜 갚은 예비역’이라는 댓글로 알 수 있듯 ‘Rollin”을 들으면서 군 생활을 버텼다는 남정네들은 브레이브걸스에게 보은의 징표로 이 곡을 재소환해 음원차트 1위로 만들었다. 위문공연을 위해 백령도까지 갔다는 브레이브걸스에 대한 ‘진짜 아미’들의 충성이다.

방탄소년단과 브레이브걸스가 조인트 콘서트를 한다면? 숫자로만 보면 방탄소년단의 ‘글로벌 아미’가 월등히 앞서지만 일당백인 브레이브걸스의 ‘레알 아미’의 기세도 만만치 않을 것 같다.

3. Speaker
방탄소년단이 해외활동 할 때 말을 제일 많이 하는 멤버는 RM일 수밖에 없다. 영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그는 모든 인터뷰에서 대표로 말을 하고 다른 멤버들의 발언까지 통역한다. BTS가 해외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영어를 잘 하는 RM이 있기 때문이다.

브레이브걸스의 멤버 유정도 홍콩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덕분에 영어에 능통하다. 비 유학파 RM과 달리 영어 문화권에서 직접 생활한 덕분에 유정의 행동은 서구적이다. 카메라 앞에서도 어색해하지 않고 자연스러우며 행동은 능동적이고 씩씩하고 쾌활하다. 브레이브걸스가 해외로 진출한다면 소속사는 통역사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4. 멸시와 무시를 극복한 집념과 용기
데뷔 초기 방탄소년단과 브레이브걸스의 반응은 비슷한 듯 달랐다. 2011년에 5인조로 출발한 브레이브걸스는 2016년에 현재 멤버인 유나, 유정, 은지, 민영의 4인조로 체질개선을 했지만 1기는 물론 2기 멤버들도 그 어떠한 욕을 먹지 않았다. 왜냐하면 단 한 번도 주목을 받지 못했으니까.

이와 반대로 방탄소년단은 처음부터 비난을 마주했다. RM(김남준)과 슈가(민윤기)가 힙합 진영으로부터 ‘계집애처럼 화장하는 랩 그룹’이라는 치욕적인 멸시를 받았던 영상이 훗날 회자 될 정도로 방탄소년단은 무시당했고, 데뷔 당시에 선배 아이돌 그룹들의 일부 극성팬들로부터 살해협박도 받았다. 방탄소년단을 ‘표절소년단’으로 부른 것은 가장 수위 낮은 린치였다.

무관심이라는 서러움을 버텨낸 브레이브걸스와 이유 없는 증오를 정면 돌파한 방탄소년단은 우리나라 근대사의 축소판이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수십 년 동안 고난을 감내하고 2021년의 대한민국을 일군 역사적 서사는 많은 난관을 극복한 브레이브걸스와 방탄소년단을 통해 투영된다. 잘 살아보기 위해, 후손에게 과거의 치욕을 다시는 주지 않겠다는 우리 부모님과 어르신 세대의 끈기와 집념은 브레이브걸스와 방탄소년단의 감동적인 성공과 같다.

언더독에 대한 측은지심은 한국인의 마음속에 있는 본바탕이다. 힘든 과거를 이겨낸 이들을 고생시켰다는 미안한 마음과 뒤늦게 알게 됐다는 후회가 시너지 효과를 낸 부분도 분명히 존재한다. 공중파 방송과 매스컴, 삐뚤어진 안티 팬들에게 푸대접을 받았던 두 그룹의 성장 스토리는 절대로 개선이 안 되는 자기개발서가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솔직하게 고백하는 일기다. 브레이브걸스와 방탄소년단의 아름답고 선한 동화는 대한민국 대중음악의 역사적인 순간이 되어야 한다. 빌리 조엘이 부른 노래 ‘Only the good die young’의 제목은 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