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KPOP Album

아이브(IVE) ‘I’ve Mine’ (2023)

평가: 2.5/5

“다른 문을 열어/따라갈 필요는 없어”라 외쳤던 ‘I am’의 가사가 무색하게 많은 것이 겹쳐 보인다. 베이스라인을 강조한 ‘Off the record’는 피프티 피프티의 ‘Cupid’와 태연의 ‘Weekend’가 레퍼런스로 삼은 도자 캣의 분홍색 디스코 감성을 닮았고, ‘Baddie’의 사운드 질감과 랩 위주의 구성에서 에스파의 ‘Savage’와 NCT의 잔향을 지우기란 쉽지 않다. 전통적인 색채로 ‘정통성’을 손에 쥐었던 아이브가 눈치를 많이 보고 있다.

그동안 확고한 캐릭터로 단단한 입지를 구축한 그룹이기에 익숙한 무기를 내려놓은 이번 전략은 다소 의아하다. 사실 직전 정규 앨범 < I’ve IVE >에서도 여러 장르적인 시도를 펼치긴 했으나 핵심으로 배치하지는 않았기에 < I’ve Mine >의 태도 전환은 조금은 갑작스러운 면이 있다. 짐작하자면 맹렬한 고음과 선명한 멜로디 라인 중심의 이미지로 굳어지는 것에 대한 경계, 그리고 이에 맞춰 여타 경쟁자들을 벤치마킹하여 해외 시장의 반응을 탐색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인다.

익숙한 영역을 떠나 새 물결에 맞춰 흘러가기 위해서는 긴장을 풀어야 한다. 한데 음악을 듣고 있으면 몸이 아직 경직되어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Either way’가 대표적으로, 속도와 밀도를 모두 낮춘 만큼 곡을 이끌어야 할 멤버들이 음색과 발성에 힘을 빼지 못하고 있으니 직설적인 가사에 화자가 온전히 스며들지 못한다. 데뷔곡 ‘Eleven’이 떠오르는 에스닉한 리듬에 연극적인 요소를 삽입한 ‘Holy moly’도 뻣뻣함이 두드러지니 어수선한 ‘무대 음악’ 인상만이 강하다.

애써 포인트를 주려는 ‘OTT’보다 앙증맞은 분위기에만 집중하는 ‘Payback’이 더 매혹적인 이유도 같은 이치다. 아예 ‘될 대로 돼라’ 식의 뻔뻔한 태도가 답일 수도 있다. 멜로디컬한 부분을 최소화하고 시종일관 건조하게 밀고 나가는 ‘Baddie’의 랩을 듣고 있으면 기시감과는 별개로 소화력에 대한 의문은 크게 들지 않는다. 가장 재밌는 케이스는 ‘Off the record’ 쪽이다. 강세를 준 발음과 강조되는 비음 등 장애물 위에 뮤지컬 < 캣츠 >의 넘버 ‘Memory’나 카디건스(The Cardigans)의 짤막한 ‘Lovefool’ 샘플링을 시니컬하게 툭툭 던지고 있으니 시선이 적당히 분산된다.

쨍한 빛깔의 RGB로 확고한 영역을 구축했으니, 다음 차례는 벤 다이어그램의 빈 곳을 채우는 일일 수밖에 없다. 흔들림이 없다면 거짓말이겠으나 타의에 의해 등 떠밀리기 전 자발적으로 오답을 지우기 시작한 것은 고무적이다. 지금 당장은 아플지 몰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어차피 필요했던 백신 예방접종이다. 그리고 적어도 주사기는 그들 스스로 쥐고 있다.

-수록곡-
1. Off the record
2. Baddie
3. Either way
4. Holy moly
5. OTT
6. Payback

Categories
Album KPOP Album

트리플에스(tripleS) ‘EVOLution <⟡>‘ (2023)

평가: 3.5/5

트리플에스 세계관에 별종이 탄생했다. 타이틀곡 제목과 특수문자 앨범명이 함께 가리키는 키워드는 ‘무적’. 에볼루션(EVOLution)의 시선은 지금 여기 현실 세상 속 아파트 단지, 버스 정류장, 지하철역이 아닌 미지의 이상향에 있다. 교복과 도교, 무술과 초능력이 뒤섞인 뮤직비디오에서 미궁을 헤매는 여덟 소녀는 차원을 넘는 도약을 꿈꾼다.

큰 줄기에서 직전 러블루션(LOVElution)과 대치된다. 전작이 다소 어리숙한 보컬을 여과 없이 드러내 현실감 조성에 힘썼다면, 이번 유닛은 음색의 충돌을 최대한 없애고 각기 다른 목소리가 하나로 들리게끔 한다. 멤버 지우의 단독 트랙으로 추후 그룹의 버전 공개를 예고하는 ‘Enhanced flower’에서 알 수 있듯, 팬 투표 기반의 조합형 시스템 특성상 약할 수밖에 없는 전체로서의 결속력을 보강하려는 시도다.

타이틀곡 ‘Invincible’로 미뤄보아 에볼루션의 ‘진화’는 모그룹보다 제작자의 이전 기획물에 더 맞닿아 있다. 전개와 구조 면에서는 이달의 소녀가 발표한 ‘Butterfly’, 무중력상태의 보컬에서는 오드아이써클 유닛 곡이었던 ‘Loonatic’의 레퍼런스가 보인다. 같은 작곡가의 손을 빌려 끊겼던 역사의 복원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그때처럼 목표는 연대를 통한 개개인의 결합 너머 공동체성의 발현이다.

2019년 뮤직비디오에서 벽을 향해 달려가던 흑인 여성과 자연스레 연결되는, 장벽을 완전히 파괴하는 멤버 유연의 모습처럼 ‘Invincible’은 ‘Butterfly’의 속편을 자처한다. 이달의 소녀가 저음역대의 벌스와 저 멀리 날아가는 코러스의 구도로 변태(變態) 과정 속 고통의 몸부림과 두려움, 비상을 향한 갈망과 환희를 표현했다면 트리플에스는 새로이 태어난 한 마리 나비의 본격적인 비행을 그린다. 하이톤 위주의 보컬 프로덕션은 차가운 공기가 감도는 높은 고도를 은유하고, 드럼 앤 베이스 리듬을 비롯한 곳곳의 스펙터클은 자유롭기에 마주할 수밖에 없는 세상의 역경을 청각적으로 묘사한다.

세상을 향한 의지를 부르짖든(‘Heavy metal wings’, ‘Moto princess’), 풋풋한 사랑을 노래하든(‘미열 37.5’, ‘Oui’) 동일하게 마치 한 명의 목소리처럼 옅게 다듬은 보컬 디렉팅은 주어를 흐릿하게 지워 그 자리에 우리 스스로를 대입하게 만든다. ‘바로 옆 그들의 이야기’에서 ‘너와 나, 모두의 이야기’로 거리가 더 좁혀졌다. 그렇기에 ‘Rhodanthe’의 실책은 더더욱 치명적이다. 지나치게 포인트를 준 음색 처리와 작곡가의 자가복제가 선명한 트랙은 아이즈원 등 ‘그 누군가’의 음악처럼 들리며 음반의 지향점에 홀로 동떨어져 있다.

여태껏 보여준 고유한 리얼리즘 콘셉트에서 이탈한 이번 EP는 ‘모든 가능성의 아이돌’을 표방하는 그룹의 새로운 시도일 수도, 아니면 유닛을 숙원 사업 해소의 수단으로 쓰려는 제작자의 욕심일 수도 있다. 둘 중 어느 것이 진실이든 잘 다듬어진 음악은 양쪽 모두의 충분한 근거가 된다. 과거의 유산과 미래의 목표 사이에 끼어 ‘지금’을 잃은 것도 같지만, 사실 ‘현재’는 어제에서 내일로 향하는 과정이기도 하니까. 결과가 아닌 현재진행 시제로 노래한 ‘Rising’처럼 소녀들은 그저 부지런히 날개를 움직일 뿐이다. 거대한 나비효과를 소망하며.

-수록곡-
1. &#10209;
2. Invincible
3. Rhodanthe
4. Heavy metal wings
5. 미열 37.5
6. Moto princess
7. Oui
8. Enhanced flower

Categories
Album KPOP Album

한로로 ‘이상비행'(2023)

평가: 3/5

데뷔곡 ‘입춘’은 과연 압도적이었다. 앨범 단위 작업물 하나 없는, 한로로라는 생경한 이름을 단숨에 국내 록 최고의 기대주 자리에 올려놓았으니 말이다. 뒤이어 이 젊은 싱어송라이터는 ‘거울’, ‘비틀비틀 짝짜꿍’ 등의 매력적인 후속 싱글로 등장의 임팩트가 기우가 아님을 증명하기도 하며, 스스로의 수식어를 ‘주목할 만한’에서 ‘주목해야 할’로 발전시켰다.

자연스럽게 집약된 소망을 동반한 한로로의 첫 EP < 이상비행 >은 기존의 성공적인 작법을 반복하며 내어진 자리를 더 단단히 다지려는 의향을 드러낸다. 독특하고 호소력 강한 보컬과 문학성 짙은 가사가 돋보이는 구성은 여전하고, 소리에 있어서도 기존의 서정적인 모던 록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으려는 모습이다.

그 영역 중에서도, 더 뚜렷하게 다가오는 쪽은 ‘해초’처럼 일정 수준 이상의 전진성과 함께 보컬에서의 색다름이 강조되는 경우다. 흔히 자우림의 김윤아와 비교될 만큼 독특하면서도 아마추어리즘의 애수가 담긴 한로로의 음색은 전에도 그랬듯 연주의 위력, 가사의 전달력과 만날 때 비로소 날카로움을 발휘하며 그 위용을 드러낸다. 특히 밝은 성향을 첨가한 ‘금붕어’나 ‘이상비행’의 후반부, 기존 문법을 완벽하게 이어가는 ‘자처’ 등에서의 훌륭한 퍼포먼스는 단연 해당 작법에 대한 흐트러짐 없는 숙련도의 결과다.

주무기인 보컬의 호소력 못지않게, 보조 무기인 가사의 문학성 역시 제 위력을 발휘한다. 일상과 자연의 소재와 내면의 감정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공감각과 비유가 돋보이는 한로로의 수사는 이번에도 따뜻한 감성과 함께 청자에 긴밀하게 접근한다. 그중 작품 전반에 스며든 ‘물’에 관련된 수사는 탄탄하면서도 산뜻하다. 어항과 바다, 하늘의 관계를 동화적으로 표현한 타이틀 ‘물고기’와 유연한 감정 이입을 보여주는 ‘해초’를 비롯, 눈물, 빗물 등 다양한 ‘물’의 속성은 작품이 발매된 늦여름의 분위기와도 입을 맞추며 작품의 설득력을 강화한다.

오른손의 검, 왼손의 총이 임무를 적절히 완수한다. ‘입춘’의 강한 임팩트, 이어진 기대에 비해 특출난 지점은 없지만 < 이상비행 >은 빠짐없이 드러나는 특장점과, 부족함 없는 완성도로 한로로라는 이름을 ‘주목해야 할’ 근거를 강화한다. 동시에 조금 느슨한 매듭이 몇몇 도전 과제를 다음 기회로 넘기며 스스로를 ‘주목해야 할’ 아티스트로 남게 하지만 말이다.

-수록곡-
1. 이상비행
2. 해초
3. 화해
4. 금붕어
5. 자처

6. 사랑하게 될 거야

Categories
Album KPOP Album

쏜애플(Thornapple) ‘동물'(2023)

평가: 3.5/5

추악하기에 아름다운

인면양이 그려진 커버에서 거부감이 든다면 아직 본인의 면역 체계가 건강하다는 신호일 것이다. 진실을 꺼내 불쾌한 골짜기를 빚어내는 쏜애플의 < 동물 >은 마치 한 편의 르포와 닮았다. 무결(無缺)과 고귀의 가면을 방패 삼아 그 뒤에서 게걸스럽게 본능을 추구하는 인간이라는 존재. 그 와중에도 자신의 흠을 무마하고자 서로를 가리키며 “너 또한 동물이다”라 외치는 이기심의 끝에는 인류가 마주한 거대한 모순과 위선이 우뚝 서 있다.

지극히 ‘동물’스럽다. 다섯 개의 간략한 트랙 구성부터 원초적인 기본 욕구의 명단이 떠오른다. 라디오헤드 풍의 몽롱한 불면증을 연상케 하는 ‘할시온’은 동명의 수면제와 평화를 상징하는 호반새의 이야기 이중 의미를 통해 평온하게 수면욕을 추구한다. 밝은 기타가 방울지는 가운데 “나를 범해달라” 요청하는 ‘살’은 초연하게 허덕이는 성욕을 청각화한다. 각각 배고픔과 갈증을 시사하는 ‘파리의 왕’과 ‘게와 수돗물’ 역시 결핍의 소재를 가져와 조심스레 폐부를 간질인다.

이미 눈치챘을지도 모른다. 이 르포의 의도는 추악함을 고발하기 위함이 아닌, 가엾고 연약하기 그지없는 인간에게 보내는 위로의 손길이다. < 동물 >은 그들의 커리어 중 가장 선명하고 따스한 이유다. 모호한 비유 점철 대신 명료한 언어 체계를 도입한 < 계몽 >의 접근성을 물려받았고, ‘생존’이라기 보다는 ‘인내’에 가까웠던 < 이상기후 >의 독백을 구조 요청으로 강화했다. ‘시퍼런 봄’의 명징한 선율과 질주감을 소환하며 대중성을 구축한 ‘멸종’에서 그 조합식을 감지할 수 있다.

결국 가축과 인간을 구분하는 차이는 바로 ‘사회적 존재’만이 가질 수 있는 감정의 연결. 자신과 상대방의 나약함을 시인하고, 서로에게 도움을 청하며, 혼자가 아닌 연대로 거듭나려는 자세다. “영원히 살고 싶다는 꿈을 꾸어보았지”(멸종)에서 홀로 띄운 운이 여러 욕망의 굴레를 거쳐 비로소 “살아가자 / 너와 내게 남겨진 생명을 다해”(게와 수돗물)로 귀결되는 수미상관은 < 동물 >이 선사하는 25분의 굴곡진 서사를 요약한다.

재가동에 어울리는 기름칠이다. 어느덧 인디 신의 중견 밴드가 된 쏜애플에게 < 동물 >은 다시금 ‘움직이는 물체(動物)’로 기능하게 해준 새로운 스타팅 포인트를 제공함과 더불어, ‘검은 별’이 상징하는 생의 마무리 대신 “살아가자”라는 생명의 씨앗을 심어 후속작에 대한 여지를 제공할 분기점을 남긴다. 팀 이름만큼이나 달콤하고도 가시를 지닌 날카로운 복귀다.

– 수록곡 –
1. 멸종
2. 할시온
3. 살
4. 파리의 왕

5. 게와 수돗물

Categories
KPOP Album

뉴진스 ‘NewJeans 2nd EP ‘Get Up”(2023)

평가: 2.5/5

지금 여기 K팝  

영리하고 당차게 ‘K팝’을 (재) 정의한다. 데뷔 초, 별다른 프로모션 없이 기습 공개한 ‘Attention’ 뮤직비디오부터, ‘둥둥 둥둥둥둥’하는 킥 드럼 사운드가 특징적인 저지클럽 열풍을 이끈 ‘Ditto’, 말 많았던 ‘Omg’ 뮤직비디오와 이를 가뿐히 잠재운 퍼포먼스는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을 획기적으로 만들었다. 눈에 띄게 달랐다. 사운드를 가득 채우고, 파트별 구간을 정확히 나눠 멤버별 이미지를 중시하던 이전 아이돌과 달리 뉴진스는 힘을 풀고 분위기를 타게 한다. 잔잔하게 너울너울. 핑크 팬서리스 & 아이스 스파이스의 ‘Boy’s a liar pt.2’를 위시해 해외 팝 씬에서 인기를 끌고 있고 베드룸팝 계열을 국내에 끌어온 이들은 시작부터 기존 K팝과 다른 노선을 택했다.  

음악은 새로웠고, 전략은 독특했다. 입대 전 단체 활동을 강조하던 방탄소년단처럼 이들 역시 개별 멤버보단 단체로서의 ‘뉴진스’ 어필에 열을 올린다. 늘 하나로 뭉쳐 호흡하는 그룹은 피처폰, 캠코더 등 Y2K 문화를 적극 수용한 뮤직비디오, 스타일링 등으로 젊은 층과 기성세대의 관심을 동시에 사는 데 성공한다. 앞을 내다본 음악과 과거와 손잡은 이미지 메이킹이 뉴진스에게 확실한 캐릭터를 안겼다. 2022년 낸 첫 EP < New Jeans > 이후 발표한 모든 싱글, ‘Ditto’, ‘Omg’과 심지어 코카콜라 CM송인 ‘Zero’마저 전 세계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샀다. 콘셉트나 음악적 변신 없이 일군 성과다.  

신보는 이미 몇 차례 대중 검증에 성공한 그 지층을 밟고 올라선다. 다만 더 가벼워졌다. 3분대를 웃돌던 러닝 타임은 2분 남짓으로 줄었고, 음반 전체를 수놓은 사운드는 더 정제됐다. 프롤로그 ‘New jeans’, 인터루드 ‘Get up’을 포함해 총 6개의 노래를 수록한 작품의 재생 시간은 단 12분. 의도적으로 훅 라인을 앞쪽에 배치, 짧은 시간에 뚜렷한 인상을 심기 위한 전략을 취하고 전보다 음역대를 제한 및 가창, 음색의 통일성에 힘을 쏟은 프로듀싱이 가장 먼저 감지되는 변화다. 핵심은 이 비슷한 질감의 노래 탄생이 시기 적절하다는 데 있다. 요즘 날의 분절된 음악 감상 경향. 즉, 음악이 BGM으로 휘발되는 지금 뉴진스 음반은 언제 어디서 들어도 쉽게 질리지 않는다.  

저지클럽을 중심으로 몽환적인 보컬이 매력적인 ‘Super shy’, 사이렌 소리가 묘한 긴장감을 만드는 ‘ETA’, 물 흐르듯 매끄럽게 떨어져 내리는 ‘Cool with you’ 등 각 음악은 약간의 분위기 차이만 있을 뿐 곡 사이 뚜렷한 경계를 지니지 않는다. 통일(혹은 통제)된 구성은 곧 노래 외부 상황과 결탁하며 새로운 의미를 찾는다. 블랙핑크, 아이브, 있지 등 당당함을 내세운 그룹에게 그 외부 상황이란 곡에서 노래하는 주체, ‘예쁘장한 Savage’나 ‘예쁘기만 하고 매력은 없는 애들과는 다른 나’ 등 구체적으로 집약될 것이나 ‘친구 같은 아이돌’을 표방하는 이들에게 확장의 방향은 ‘뉴진스(그 너머의 나)’로 향한다.  

다시 말해, 곡에서 ‘나’를 특징짓지 않고, 어디에서든 소화 가능한 일명 “숨죽인 음악”을 하는 뉴진스는 무엇이든 될 수 있다. 미국 애니메이션 ‘파워퍼프걸’과 협업해 뮤직비디오를 만들고, 아이폰 14를 수록곡 ‘ETA’ 영상과 무대에 적극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단체, 그룹, 혹은 브랜드 ‘뉴진스’ 밖의 많은 것을 톤다운 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제작자 민희진의 능력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데뷔 9개월 만에 멤버 전원이 글로벌 명품 브랜드의 엠배서더가 된 것까지 지금 이들의 브랜드 가치는 최정상을 내달린다.  

작금의 잘나가는 아이돌이 글로벌 엠배서더로 인기를 인정받듯, 이들도 음악 외의 상품들을 대표하며 성공을 자축한다. 그 과정에서 음악은 ‘자체로서’가 아닌 ‘수단으로서’ 쓰인다. 일면, 노래를 부르는 멤버들 역시 음악 안에서만큼은 스스로 존재하지 못한다는 인상이 들기도 한다. K팝이 종국에 산업으로 닻을 내린다면, 신보의 착지는 완벽하다. 뉴진스는 어떤 의미에서든 지금 여기의 K팝을 이끈다. 우리 곁의 친구를 표방하며 동시에 명품을 대표하는 그 이질성을 잊게 할 만큼. 뉴진스는 전형적인 듯 전형적이지 않은 K팝을 한다.  

-수록곡-
1. New jeans
2. Super shy
3. ETA
4. Cool with you
5. Get up
6. AS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