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bum POP Album

블러(Blur) ‘The Ballad Of Darren'(2023)

평가: 4/5

8년 만의 신보 < The Ballad Of Darren >은 어느덧 50대를 훌쩍 넘긴 블러의 현재를 그대로 보여준다. 그때 그 시절 블러의 실험정신이나 재기발랄한 매력은 찾기 어렵다. 상실과 고독, 공허함에 사무친 감정이 작품을 감싼다. 프런트맨 데이먼 알반은 본인이 원하지 않은 여러 이별을 겪었다. 기타리스트 바비 워맥, 드러머 토니 앨런 등 친한 동료 뮤지션들이 세상을 떠났고, 20년간 동거생활을 유지한 연인 수지 윈스탠리와의 관계를 정리했다. 그렇기에 블러는 그에게 있어 시간이 갈수록 더욱 소중하며 결코 잃고 싶지 않은 존재다. 그는 블러와 함께 현재의 자신을 차분하게 들여다본다. 그것이 이번 앨범의 첫 트랙, ‘The ballad’의 시작이다.

‘The ballad’는 과거에 대한 추억으로 가득한 데이먼의 쓸쓸한 보컬로 시작해 멤버들이 하나둘 합류하며 풍성해지는 점진적인 진행으로 비로소 블러가 돌아왔음을 알린다. 다시 한 곳으로 집결한 그들은 옛날처럼 통통 튀는 록을 연주해 본다. 1980년대 뉴웨이브로 초기 블러가 연상되는 ‘St. Charles square’와 데이먼 알반의 주력 프로젝트가 된 고릴라즈의 향취가 배인 ‘Barbaric’은 각자 신나는 멜로디 사이에 슬픔과 절망이 묻어 나온다.

우울에 빠진 그들은 후반부로 갈수록 기타 노이즈를 더 키우며 극복하려 한다. ‘The narcissist’는 앨범의 변곡점이다. ‘거울을 보니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는 첫 구절은 그들이 대중 뮤지션으로서 살아온 삶을 은유한다. 오랫동안 넘어지기 쉬운 굽잇길을 걸어온 그들은 서로가 서로의 빛이 되었다. ‘The narcissist’를 지난 뒤의 감정은 대체로 낭만적이다. 왈츠 리듬에 맞춰 홀로 춤을 추는 ‘Far away island’는 쓸쓸함을 덮는 황홀한 사운드로 가득하고, ‘Avalon’은 혼란 속에서도 상대의 행복을 바란다. 마지막 트랙 ‘The heights’는 아름다운 오케스트라 세션과 귀를 찢는 노이즈의 융합으로 이 애처롭고도 아름다운 삶을 표현한다. 고독은 여전하나 눈부신 이상에 도달하려는 여정은 계속되며 그 끝은 혼자가 아닐 것임을 소망한다.

6번째 앨범 < 13 >이 연상된다. 그 앨범은 멤버들을 괴롭히는 심적 고통이 끊이질 않는 상황에서 만들어져 전체적으로 가라앉은 분위기에 각종 실험적인 사운드를 도입해 복잡한 마음을 표현했다. 20여 년이 지나 다시 찾아온 고통의 시간 위에서 연주하는 < The Ballad Of Darren >은 그때보다는 훨씬 정갈하고 실험보다는 밴드 자체의 합에 집중한다. 베이시스트 알렉스 제임스와 드러머 데이브 로운트리는 늘 그랬듯, 기교를 최소화하고 탄탄하게 뒤를 받친다. 그레이엄 콕슨도 이번에는 대체로 데이먼 알반에게 주도권을 내줬다. 그 결과, 각 트랙의 개성이 덜하고 음악적으로는 고릴라즈와 다소 맞닿아 있으나 트랙 간 유기적인 연결과 감정표현이 뛰어난 작품이 되었다.

블러는 젊지 않다. 1990년대의 기성세대를 풍자하고 비판했던 그들은 이제 2020년대의 기성세대다. 과거의 에너지를 재현하기에는 그 시절만큼의 기력이 없다. 이별의 슬픔도 이전보다 더 자주 겪으며 점점 무뎌지지만 무감하지는 않다. 음악의 기술에는 통달했으나 신선함은 이와 반비례한다. 그런데도 블러니까, 블러기에, 블러라는 이름으로만 할 수 있는 음악이 있다. 작품에 담긴 이야기들은 고릴라즈나 누군가의 솔로 명의로는 절대 노래할 수 없다. 브릿팝의 종말 이후 음악적 실험실에 가까웠던 블러는 돌고 돌아 즐거운 고향이 되었다. 먹구름 낀 광야에서도 수영을 즐기는 앨범커버처럼 우울과 낭만 사이에서 행복을 포착한다.

– 수록곡 –
1. The ballad
2. St. Charles square
3. Barbaric
4. Russian strings
5. The everglades (for Leonard)
6. The narcissist
7. Goodbye Albert
8. Far away island
9. Avalon
10. The heights

Categories
Album POP Album

앤 마리(Anne Marie) ‘Unhealthy’ (2023)

평가: 2.5/5

시대의 순풍을 탄 아티스트가 필연적으로 거쳐야 할 통과의례다. 일렉트로닉 팝이 시장을 휩쓸던 10년 전쯤 함께 등장한 앤 마리에게 이번 시험이 요구되는 이유는 분명하다. 전자음악의 슬하에서 성장했으나 장르의 열기는 차츰 식었고, 몇몇 히트곡 이후 그의 후속작은 성공 공식을 다소 납작하게 반복하는 데 그쳤기 때문. 시장의 논리는 비정하지만, 화려한 조명이 옮겨간 지금 점검의 시기는 가장 적절하다.

새 판을 짜겠다는 의도가 돋보인다. 초장부터 ‘Sad b!tch’가 새드 걸 팝(Sad Girl Pop)에 일침을 날리고, 대신 팝 펑크에 실마리를 얻은 ‘Haunt you’가 강하고 주체적인 자의식을 불어 넣는다. 본인의 병명을 드러낸 ‘Cuckoo’나 재치 있게 단어 중 앞 글자만 뗀 ‘Ick’ 등 실감 나는 노랫말도 옹골찬 성장의 단면을 써내리는 데 일조한다. 실제 경험을 빼곡하게 수록한 덕에 건강하지 않은 모습, 결점까지도 온전히 내비치겠다는 타이틀 < Unhealthy >는 설득력을 가진다. 

준수한 표현력을 청각에 연결 짓기 위해 보컬리스트로서 놀라운 장르 적응력도 발휘한다. 한 우물만 파기보다는 각각에 맞는 옷을 입혀 그가 지닌 최대 장점이 잘 드러나는 전략이다. 래퍼 라토부터 케이팝 그룹 세븐틴까지 교류했던 경험을 양분 삼아 어쿠스틱과 록, 심지어 컨트리까지 폭넓게 선보인 것이다. 돌아온 여성 컨트리 팝의 대가 샤니아 트웨인(Shania Twain)의 허스키한 음색을 만끽할 ‘Unhealthy’에서 마저 전설의 명성에 크게 뒤지지 않았다.

매무새는 그럴듯해 보이나 알맹이는 부실하다. 입체적인 서사와 다르게 대부분의 구성이 평면적인 탓으로, 비교적 준수한 곡은 음미하기에는 너무 짧고 이전 히트곡만큼의 파급력을 지니지도 못해 그 인상이 미약하다. 송 캠프에서 기억에 남는 멜로디만 단순 나열한 트랙리스트 같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고, 수수한 품으로 몇 곡 정도는 완성도를 높였으면 어떨까 아쉬워지는 지점이다. 

인기 싱글 ‘2002’는 순탄한 성공 가도를 펼쳤지만 이를 유지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은 높았다. 험난한 길 중간에 거울을 비춰본 순간, 앤 마리는 불완전한 자신의 모습을 직시하고 힘겨운 돌파를 택했다. 그렇게 탄생한 < Unhealthy >는 하나의 인격체로서, 그리고 가수로서 도약의 발판으로 충분히 기능할 것이다. 물론 결과를 중시한다면 모든 종류의 초석이 그러하듯 크게 눈에 띄지는 않겠지만, 과정에 의미를 둔다면 자랑스러운 흔적이다.

– 수록곡 –

1. Sucks to be you
2. Sad b!tch
3. Psycho
4. Haunt you 
5. Trainwreck
6. Grudge
7. Obsessed
8. Kills me to love you
9. Unhealthy (Feat. 샤니아 트웨인) 
10. Irish goodbye
11. Cuckoo
12. You & I (Feat. 칼리드) 
13. Never loved anyone before
14. Better off
15. Ick
16. Expectations

Categories
Album POP Album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Guts’ (2023)

평가: 3.5/5

지난 2021년 9월 멧 갈라(Met Gala) 행사에 등장한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새까만 깃털 의상을 보고 불과 4개월 전 발매한 데뷔 앨범과는 너무나도 다른 패션에 적잖이 당황했던 기억이 있다. 이제 보니 ‘디즈니 소녀’ 꼬리표를 재빨리 떼려는 시도이자 차기작에 대한 예고가 아니었나 싶다. 전 남자친구를 제물로 바쳐 뒤틀린 신데렐라 이야기의 주인공이 된 뮤지션이 돌아왔다. 완전한 성숙 이전, 혼란스러운 성장 단계에 선 채로.

‘배짱’을 뜻하는 제목처럼 청승맞은 데뷔 앨범에 비해 조금 더 과감해졌다. 첫 트랙 ‘All-American bitch’는 미디어가 그리는 미국 여성의 이상향을 조롱하고, “그저 발이 걸려 침대에 넘어진 것뿐이야”(’Bad idea right?’), ”넌 밤에만 모습을 드러내지“(’Vampire’) 등 섹슈얼한 표현도 스스럼없이 내뱉는다. 웃음기 빠진 디즈니 하이틴에서 파스텔톤 HBO 드라마로의 장르 변경. 한 끗 차이지만 뉘앙스에 분명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Good 4 u’의 성공으로 팝 펑크 리바이벌의 주축이 되었지만 사실 < Sour >에서 그러한 트랙의 비중은 극히 낮았다. 두 배 넘게 증가한 신보의 일렉트릭 기타 함유량은 세 가지를 목표로 한다. 덜컥 얻어버린 수식어에 부합하기 위한 보강공사, 전작과의 차별화 조성 및 성장의 은유, 그리고 좀비 상태인 록 장르의 부흥을 꿈꾸는 평단의 호감 얻어내기다. 속 보이는 전략임에도 포스트 펑크의 털털한 허세와 화끈한 2000년대 팝 록 기타 리프를 재현하는 솜씨에 음악이 결코 밉지 않다.

너무 빨리 무게를 잡은 탓에 퇴행을 택할 수밖에 없던 에이브릴 라빈의 선례를 의식했는지 여전히 나머지 절반은 일기장을 눈물로 적실 10대 백인 소녀 계층을 위한 발라드로 채웠다. 과거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그랬듯 소녀와 성인 사이 회색지대에 발을 딛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더더욱 관습적인 끼워 넣기로 보인다. 목소리부터 울먹이기 바쁜 ‘Logical’, ‘The grudge’ 등은 마땅한 존재 가치를 찾기 어려울뿐더러 고음의 답답한 음색이 테일러 스위프트와의 유사성을 한층 부각한다.

해답은 양극을 달리는 구성 가운데 제3의 길을 제시하는 ‘Pretty isn’t pretty’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모두가 1980년대를 신스팝과 펑크(funk), 디스코로 추억하는 천편일률적 양상에서 살짝 벗어나 블론디(Blondie)나 아웃필드(The Outfield)의 서정적 선율과 선선한 뉴웨이브 기타 톤을 결합했다. 감정과 에너지의 과잉 모두 억제한 절충의 미학은 외모지상주의를 비판하는 날것의 언어에 통찰력의 아우라를 부여한다. 앨범 후반부에서 가장 번뜩이는 트랙이다.

보편성의 추구로 대중의 지지를 얻었기에 올리비아 로드리고는 끊임없이 독창성의 증명을 요구받는 처지에 있다. 곳곳을 빼곡하게 채운 주석은 그를 기존 데이터를 끌어와 배합하고 요약하여 내놓는, 마치 챗GPT와 같은 가수로 보이게끔 한다. 그렇다면 원본 대신 그의 음악을 들어야 할 근거는 무엇일까? < Guts >는 이 물음에 정면으로 답하는 대신 나이를 무기 삼은 뻔뻔한 태도로 거침없이 밀고 나간다. 눈치 보지 않는 맹랑한 가수를 목도하고 있으면 점차 의심은 호기심으로, 불신의 시선은 업데이트에 대한 기대로 바뀐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지금 추세라면 언젠가는 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할 날이 분명 찾아올지도 모른다.

-수록곡-
1. All-American bitch
2. Bad idea right?
3. Vampire
4. Lacy
5. Ballad of a homeschooled girl
6. Making the bed
7. Logical
8. Get him back!
9. Love is embarrassing
10. The grudge
11. Pretty isn’t pretty
12. Teenage dream

Categories
Album POP Album

스펠링(Spellling) ‘Spellling & The Mystery School'(2023)

평가: 3.5/5

스펠링(Spellling)은 아멘 듄스나 제니 발(Jenny Hval) 등 영묘한 기운의 퓨전 음악가들이 포진되기로 유명한 미국의 인디 레이블, ‘세크리드 본즈 레코즈’의 간판 아티스트 중 하나다. 모든 창작적 시도를 존중하는 환경에서 첫 음악 활동의 뿌리를 내린 만큼 아트 팝과 다크웨이브(darkwave) 등 다양한 결을 오가며 지평을 넓힌 음악가이기도 하다.

공식적으로 정규 앨범이지만 단 하나의 신곡도 없는 구성부터 이단아적 성격을 내비친다. < Spellling & The Mystery School >은 장대한 오케스트라과 밴드 세션을 대동해 자신의 디스코그래피를 완전히 분해하고 다시 조합한 리메이크작이다. 더 정확히는 재작년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해준 입지적 분기점 < The Turning Wheel >의 풍부한 바로크 팝 문법을 더욱 강화해 용광로로 만들어 과거 작업물을 전부 털어 넣어 만든 응집체다.

언뜻 의아해 보이나, 그 속에는 히트곡 교열만이 아닌 예명 뒤에 존재하는 크리스티아 카브랄(Chrystia Cabral)이라는 한 인간의 분투가 기록된다. 치열한 자기 탐구로 마침내 시대의 주목을 얻는 데는 성공했다. 이제 필요한 것은 시행착오의 궤적을 현재 시제로 개편해 2막으로 나아갈 원동력을 얻기 위한 고혹적 몸부림. 완벽주의에 의거한 소화 행위가 벌어지는 이유다.

분명 그의 초기작은 독특한 정체성을 가졌으나 영감의 원류가 명확히 드러나는 지점이 있었다. 데뷔작 < Pantheon Of Me >에는 뷰욕의 울렁거리는 앰비언스와 미니멀리즘이, 그리고 < Mazy Fly >에는 크라프트베르크의 투박한 신시사이저와 케이트 부시의 소프라노 창법이 웃돌았다. 그 둘이 지닌 모사적 성격을 지우고 < The Turning Wheel > 문법에 투입해 커리어 통합을 일궈내려는 시도는 어쩌면 주체성 쟁취를 향한 강한 열망으로 보인다.

중압감을 집요하게 파헤쳐 연약한 보컬과 대비를 이룬 ‘Walk up to your house’부터 사운드에 대한 집착이 선명하다. ‘Under the sun’과 ‘Haunted water’에서는 기존의 건조하고 댄서블한 분위기 대신 건반과 현악기를 교차로 드리워 아트홀 규모에 어울릴 법한 두터운 조성을 입혔다. 의도적이다 못해 광적으로 반복을 지향하던 ‘Choke cherry horse’는 코러스와 부드러운 변주를 섞어 친절한 팝 트랙 ‘Cherry’로 둔갑시킨다.

출세작의 그늘에 과거를 강제로 편입시키려는 강압은 시시비비를 가릴 수 없는 예술의 영역에 마치 선악 논리를 대입하려는 모순적 감상을 낳기도 하지만, 이에 대해 스펠링은 그저 일탈에서 비롯된 프로젝트가 아니라는 듯 정규 앨범으로 내세우는 용기로 대답을 일관한다. 결국 양질의 수록곡을 전부 준수하게 결속한 창의적인 편곡과 라이브 녹음을 고수해 영롱하다 못해 익사할 만큼 깊어진 공간감으로 역량을 증명하는 데도 성공한다. 원곡과 대비해 보며 차이를 확인하는 것은 앨범의 또 다른 재미 요소 중 하나다.

제2의 후예가 되는 것이 아닌 제1의 스펠링이 되는 것. 평범한 학교 교사에서 소리로 열망을 일깨우려는 선각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한 사람의 고심은 세 번의 도약을 거쳐, 마침내 한 편의 ‘스펠링 뮤지컬’로 환산되기에 이르렀다. 독특하지 않아도 탄탄하다. 그가 설립한 수수께끼의 학교에 입성하는 순간 진녹색 연기와 구속복에 채워진 채 차분히 열반에 접어들 수밖에 없다. 이런 변심이라면 언제든 환영이다.

– 수록곡 –
1. Walk up to your house
2. Under the sun

3. They start the dance
4. Cherry
5. Haunted water
6. Hard to pretend (reprise)
7. Phantom farewell
8. Boys at school
9. Always
10. Revolution
11. Sweet talk

Categories
KPOP Album

뉴진스 ‘NewJeans 2nd EP ‘Get Up”(2023)

평가: 2.5/5

지금 여기 K팝  

영리하고 당차게 ‘K팝’을 (재) 정의한다. 데뷔 초, 별다른 프로모션 없이 기습 공개한 ‘Attention’ 뮤직비디오부터, ‘둥둥 둥둥둥둥’하는 킥 드럼 사운드가 특징적인 저지클럽 열풍을 이끈 ‘Ditto’, 말 많았던 ‘Omg’ 뮤직비디오와 이를 가뿐히 잠재운 퍼포먼스는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을 획기적으로 만들었다. 눈에 띄게 달랐다. 사운드를 가득 채우고, 파트별 구간을 정확히 나눠 멤버별 이미지를 중시하던 이전 아이돌과 달리 뉴진스는 힘을 풀고 분위기를 타게 한다. 잔잔하게 너울너울. 핑크 팬서리스 & 아이스 스파이스의 ‘Boy’s a liar pt.2’를 위시해 해외 팝 씬에서 인기를 끌고 있고 베드룸팝 계열을 국내에 끌어온 이들은 시작부터 기존 K팝과 다른 노선을 택했다.  

음악은 새로웠고, 전략은 독특했다. 입대 전 단체 활동을 강조하던 방탄소년단처럼 이들 역시 개별 멤버보단 단체로서의 ‘뉴진스’ 어필에 열을 올린다. 늘 하나로 뭉쳐 호흡하는 그룹은 피처폰, 캠코더 등 Y2K 문화를 적극 수용한 뮤직비디오, 스타일링 등으로 젊은 층과 기성세대의 관심을 동시에 사는 데 성공한다. 앞을 내다본 음악과 과거와 손잡은 이미지 메이킹이 뉴진스에게 확실한 캐릭터를 안겼다. 2022년 낸 첫 EP < New Jeans > 이후 발표한 모든 싱글, ‘Ditto’, ‘Omg’과 심지어 코카콜라 CM송인 ‘Zero’마저 전 세계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샀다. 콘셉트나 음악적 변신 없이 일군 성과다.  

신보는 이미 몇 차례 대중 검증에 성공한 그 지층을 밟고 올라선다. 다만 더 가벼워졌다. 3분대를 웃돌던 러닝 타임은 2분 남짓으로 줄었고, 음반 전체를 수놓은 사운드는 더 정제됐다. 프롤로그 ‘New jeans’, 인터루드 ‘Get up’을 포함해 총 6개의 노래를 수록한 작품의 재생 시간은 단 12분. 의도적으로 훅 라인을 앞쪽에 배치, 짧은 시간에 뚜렷한 인상을 심기 위한 전략을 취하고 전보다 음역대를 제한 및 가창, 음색의 통일성에 힘을 쏟은 프로듀싱이 가장 먼저 감지되는 변화다. 핵심은 이 비슷한 질감의 노래 탄생이 시기 적절하다는 데 있다. 요즘 날의 분절된 음악 감상 경향. 즉, 음악이 BGM으로 휘발되는 지금 뉴진스 음반은 언제 어디서 들어도 쉽게 질리지 않는다.  

저지클럽을 중심으로 몽환적인 보컬이 매력적인 ‘Super shy’, 사이렌 소리가 묘한 긴장감을 만드는 ‘ETA’, 물 흐르듯 매끄럽게 떨어져 내리는 ‘Cool with you’ 등 각 음악은 약간의 분위기 차이만 있을 뿐 곡 사이 뚜렷한 경계를 지니지 않는다. 통일(혹은 통제)된 구성은 곧 노래 외부 상황과 결탁하며 새로운 의미를 찾는다. 블랙핑크, 아이브, 있지 등 당당함을 내세운 그룹에게 그 외부 상황이란 곡에서 노래하는 주체, ‘예쁘장한 Savage’나 ‘예쁘기만 하고 매력은 없는 애들과는 다른 나’ 등 구체적으로 집약될 것이나 ‘친구 같은 아이돌’을 표방하는 이들에게 확장의 방향은 ‘뉴진스(그 너머의 나)’로 향한다.  

다시 말해, 곡에서 ‘나’를 특징짓지 않고, 어디에서든 소화 가능한 일명 “숨죽인 음악”을 하는 뉴진스는 무엇이든 될 수 있다. 미국 애니메이션 ‘파워퍼프걸’과 협업해 뮤직비디오를 만들고, 아이폰 14를 수록곡 ‘ETA’ 영상과 무대에 적극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단체, 그룹, 혹은 브랜드 ‘뉴진스’ 밖의 많은 것을 톤다운 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제작자 민희진의 능력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데뷔 9개월 만에 멤버 전원이 글로벌 명품 브랜드의 엠배서더가 된 것까지 지금 이들의 브랜드 가치는 최정상을 내달린다.  

작금의 잘나가는 아이돌이 글로벌 엠배서더로 인기를 인정받듯, 이들도 음악 외의 상품들을 대표하며 성공을 자축한다. 그 과정에서 음악은 ‘자체로서’가 아닌 ‘수단으로서’ 쓰인다. 일면, 노래를 부르는 멤버들 역시 음악 안에서만큼은 스스로 존재하지 못한다는 인상이 들기도 한다. K팝이 종국에 산업으로 닻을 내린다면, 신보의 착지는 완벽하다. 뉴진스는 어떤 의미에서든 지금 여기의 K팝을 이끈다. 우리 곁의 친구를 표방하며 동시에 명품을 대표하는 그 이질성을 잊게 할 만큼. 뉴진스는 전형적인 듯 전형적이지 않은 K팝을 한다.  

-수록곡-
1. New jeans
2. Super shy
3. ETA
4. Cool with you
5. Get up
6. AS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