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이즘(IZM)이 문화도시 부평과 함께 하는 < 음악 중심 문화도시 부평 MEETS 시리즈 >는 인천과 부평 지역 출신이거나 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아티스트들을 순차적으로 인터뷰하는 시리즈 기획이다. 지금까지 관련한 이곳 출신의 여러 뮤지션들이 자리해 그들 자신의 음악 이야기와 인천 부평에 대한 추억을 들려주었다. 이번 열여덟 번째 인터뷰의 주인공은 인천 최초의 걸 밴드 ‘레이디버즈’의 드러머 김삼순이다.

올해 브레이브걸스 ‘롤린(Rollin’)’ 역주행은 위문 열차 공연 영상으로부터 시작했다. 특히 병사들이 의자 위로 올라가서 가오리 춤을 따라 출 만큼 흥겨워하는 모습은 군 생활의 추억을 불러일으키며 전폭적인 지지의 계기가 되었다. 1960년대에도 걸그룹의 공연은 많은 병사들의 위안이 되어주었다. 인천 출신 여성들로 결성된 5인조 걸 밴드 레이디버즈는 전국의 미군 부대 클럽을 누비며 병사들의 환호를 받았다.
양손에 쥔 드럼 스틱, 숏컷 헤어스타일, 몸에 딱 맞춰 떨어지는 근사한 옷. 지금 봐도 세련된 모습으로 공연하던 사진을 보여주는 레이디버즈의 드러머 김삼순은 그때와 다름없이 생기가 넘쳤다. 타지에 살고 있지만 ‘내 고향이 부평이니 애스컴 역시 내 고향이다’라며 밴드 활동 시절의 추억과 애스컴에 대한 변함없는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지금도 인천 그린 실버 악단, 인천 팝스 오케스트라로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여자’ 김삼순을 만났다.

우선 인천 최초의 걸밴드, 레이디버즈 데뷔에 얽힌 에피소드가 궁금합니다.
레이디버즈는 여자들끼리 시작한 그룹이다. 그룹명도 숙녀를 뜻하는 ‘레이디’와 새들이 조잘거리는 모습을 연상한 ‘버드’가 합쳐진 단어다. 근데 ‘레이디버드’(Ladybird)를 검색하니 무당벌레가 나오더라. 55년 전 그때만 해도 단장님이나 우리 멤버들이나, 다들 영어 실력이 부족해서 일차원적인 뜻만 생각하고 만든 셈이다. (웃음)
정확하게 활동을 개시한 건 몇 년일까요.
당시에 오디션을 본 게 있었으니, 아마 1968년도일 거다. 신중현도 바로 옆에서 본 기억이 있고 이미자나 최희준이 쇼를 열면 펄 시스터즈와 같이 서기도 했으니. 처음에는 여자 여섯 명이 함께 연습하며 시민회관에서 공연을 했다. 그러다 미 8군 오디션이 다가올 때쯤 퍼스트 기타가 사정이 생겨 밴드에서 나가게 됐고, 단장님이 데려온 남자 한 명과 몇 개월을 다시 연습한 뒤 미8군 오디션에 나갔다. 그때 서파리스(Surfaris) ‘Wipe out’의 드럼 솔로로 B+ 등급을 받으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국내 가요 무대에서의 인상에 남는 기억이 있을까요.
한 미8군 사단에 가면 한 달 정도 머물며 공연을 하는데, 그동안에도 틈틈이 국내 가요 무대에 출연했다. 그때 배호의 마지막 공연에도 나갔고, KBS 사옥이 남산에 있을 때 김상희와 함께 녹화를 하기도 했다.
드럼을 시작할 때 영향을 준 노래나 뮤지션은 누구였나요.
우리 맏언니와 결혼한 형부가 한국 최초의 드러머 김윤옥 선생이다. 당시 음악하는 사람은 일명 ‘딴따라’라는 편견이 있었는데도, 우리 형부가 워낙 인물도 잘나고 인간성도 좋았던 터라 아버지와 맏언니도 형부에게 드럼을 배우는 것을 허락해주더라. 그때가 17살이었다. 마침 오빠도 아코디언을 연주해서 ‘음악하는 남매’라고 하면 주변 사람들이 다 알았다.
당시 레이디버즈의 연주 실력은 어땠나요.
아우, 별로였다. 히식스나 키보이스같이 실력이 뛰어난 밴드에 비교하면 말도 못 한다. 우리는 여자로서 덕을 본 셈이다.
미8군에서 연주했던 레퍼토리를 소개해주세요.
당시 우리 밴드의 단골 곡은 아까도 말했듯 서파리스(The Surfaris)의 ‘Wipe out’이다. 벤처스(The Ventures)의 ‘Shanghied’나 ‘Django’도 자주 연주했고, 비틀스 곡은 거의 다 했던 것 같은데 특히 ‘I’m so tired’를 많이 연주했던 기억이 난다.
당시 미8군 중 어디에서 주로 공연하셨는지.
전국의 부대란 부대는 다 돌았다. 미8군에는 밴드 비 클래스와 에이 클래스가 나뉘어 있는가 하면 패키지, 쇼 프로 형식으로 들어가는 게 있다. 우리 밴드가 속한 쇼 클래스는 가격이 더 비쌌다. 저녁 9시, 10시, 11시 이렇게 하루에 세 번 공연을 하는데, 애스컴에서 공연할 때는 다른 밴드의 빈자리를 채워주기도 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인 부대가 있을까요.
일단 반응이 좋은 부대가 가장 재미있다. 당시 무대는 사병 클럽, 중상사 클럽, 장교 클럽으로 세 개로 나뉘는데, 장교 클럽은 다들 점잖게 앉아 경청만 하니 조금만 틀려도 티가 나서 주눅이 들 정도다. 근데 또 사병 클럽으로 가면 함성이나 반응이 너무 좋다. 몇몇은 미니스커트를 입은 밴드 멤버들을 보려고 바로 앞까지 무릎으로 기어오기도 하고. (웃음) 중상사 클럽은 다들 카메라를 하나씩 들고 공연에 온다. 어느 날 한 군인이 즉석카메라를 가져와 그 자리에서 한 장 찍어 건네준 기억이 난다. 그때 우리나라는 카메라가 워낙 귀할 때라 정말 놀랐다.
애스컴은 고향이니까 더 반가웠겠어요.
그렇다. 어디를 가든 대우는 좋았지만 아무래도 고향과도 같은 애스컴이 가장 반가웠다. 우리가 공연에 가면 미군 장교들이 커피도 권하고 토마토 주스도 줬다. 그때 토마토 주스를 처음 먹어봤는데 먹어보지 않았던 것이라 내 입에는 안 맞더라.
그러면 레이디버즈 이름으로는 활동을 몇 년 정도 하셨는지.
정확하게 2년 활동했다. 미8군은 2년 활동을 하면 다시 오디션을 봐야 활동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기에, 1968년에 시작하여 1970년에 활동을 마쳤다. 그리고 그때는 여자가 스물셋만 넘어가도 올드미스라 하던 시절이라 고등학생 때부터 5년간 펜팔을 주고받던 군인과 결혼했다. 이후에는 내 자리를 장미화가 채운 것 같다. 다시 미8군 오디션을 봤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나중에 장미화와 임정임이 레이디버즈로 활동하며 동남아에 진출한 것을 보고 아쉬운 마음도 들었다.
레이디버즈로 활동할 때 돈은 얼마 정도 받으셨나요.
그 당시 월급 3만 3천 원에서 세금 10퍼센트를 떼고 3만 원을 받은 것 같다. 집에 1만 원 정도 드리고, 1만 원은 저금하고, 나머지 1만원은 용돈으로 쓰면서 좋은 의상과 신발을 맞췄다. 결혼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당시 군 상사였던 남편의 월급이 8천원인걸 알게 됐을 때 정말 놀랐다.
레이디버즈로 활동하며 전국을 다니던 때를 어떤 시절로 기억하시나요.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나에게 아주 좋은 기회이자 행복한 시절이었고, 그렇기에 빨리 그만둔 것에 서운할 때도 있었다. 중간에 후회를 많이 하기도 했고. 그래도 나쁜 길로 안 빠지고 적당한 나이에 결혼해서 지금의 부군을 만나기도 했고, 그래서 나는 내가 제일 행복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고비가 사람들에게는 다 있는 거고, 무엇보다 떳떳하게 살 수 있어 당당하다. 물론 젊을 때는 지금은 사별한 남편이 이상하게 볼까 미8군에서 공연한 사실을 말 못 하기도 했었다. 근데 후에 말하고 난 뒤에는 내가 음악 활동을 한 사실을 무시하는 사람이 있으면 대신 화를 내주기도 했다.
지금 많은 걸그룹이 활동하고 있는데 그 모습을 보면 어떤 감정이 드시나요.
다들 너무 실력도 좋고 여러 방면에서 완벽하게 잘하는 친구들이다. (웃음)

레이디버즈 활동 이후 언제 다시 음악을 시작하셨나요.
우선 부모나 형제한테 피해를 주지 않고 자신을 지키면서 음악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나 역시 음악이 정말 하고 싶었지만 아이를 키우면서 35년간 식당을 영업하느라 도저히 할 시간이 없었다. 아이들을 다 키우고 나니 50살이 되었는데 정말 음악이 미치게 하고 싶어 식당을 병행하며 여유시간에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시작했다. 첫 시작은 부평에 있는 인천여성문화회관에서 장구를 배웠는데, 가르치는 선생님이 날 보고 혹시 예전에 악기를 다룬 적이 있는지 너무 익숙하게 잘한다고 칭찬을 해주시더라. 오래전에 드럼을 좀 쳤다고 말씀드리니 그때 인천 팝스 오케스트라에 드럼 자리가 비었다고 소개해주셨다.
인천시와 여성가족부가 인천 팝스 오케스트라를 지원하다가 지금은 인천가족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다. 나는 지금도 인천가족재단 고문 자리에 앉아 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까지 정기 연주에 참여했다. 항상 나가는 것은 아니고 오케스트라에 타악기 연주자가 5명 정도 필요한데 징, 카우벨 같은 타악기 연주자 자리가 비면 채우고 있다. 15년 전 남편과 사별한 후에는 시간 여유가 더 생겨서 인천 그린 실버 악단에서도 활동했다. < 가요무대 >를 진행하시던 김정도 선생님이 운영하던 오케스트라인데 김정도 선생님이 돌아가시는 날까지 함께 활동했다.
1960~1970년대만 해도 미국 진출이란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는데, 최근 많은 K팝 가수들이 빌보드 차트에 진입하고 정상을 따내기도 했습니다.
지금의 K팝 가수들 정말 뛰어나고 훌륭하지만, 그래도 우리 시대에는 나름대로 우리가 최고였다. 특히 애스컴은 우리나라 음악의 원조라고 볼 수 있다. 당시에는 다들 악보를 보기는커녕, 악기조차 제대로 배울 수 없던 환경에서도 선배들은 부대 앞에 있는 클럽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소리나 미군들이 흥얼거리는 멜로디를 듣고 음악을 독학했으니까. 물론 흉내 내는 것을 시작으로 만들었지만, 그런 것들이 기초가 되어 오늘날 K팝이 발전한 것이라 본다.
인터뷰 : 임진모, 임동엽, 장준환, 정수민
사진 : 임동엽
정리 : 장준환, 정수민
기획 : 부평구문화재단 문화도시사업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