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POP Single Single

앨런 워커, 사샤 슬론(Alan Walker, Sasha Sloan) ‘Hero’ (2023)

평가: 2/5

데뷔곡 ‘Faded’부터 전작 < Walkerverse, Pt. I >까지 착실히 구축한 독자적 세계관의 연장선이다. 검은 복면의 다크 히어로 앨런 워커가 설계한 ‘워커버스’에서는 모두가 영웅이 될 수 있다. 연대와 연결을 강조하며 음악을 매개로 공동체 가치를 실현한 그는 ‘Hero’로 다시 한번 대중에게 용기를 건넨다.

싱글은 ‘Dancing With Your Ghost’로 주목받은 새드 팝 아티스트 사샤 슬론의 목소리를 빌렸다. 전면에 배치한 신비로운 음색이 특유의 극적인 사운드 구성과 맞물려 몰입감을 조성하고 정직한 베이스라인이 이를 뒷받침한다. 다만 보컬을 둘러싼 선율이 밋밋하다. 이전 히트곡 ‘Alone’, ‘All falls down’에 비해 눈에 띄게 평범해진 멜로디는 매력도뿐만 아니라 드롭 구간의 존재감마저 앗아간다. 현재 진행 중인 서사와 달리 음악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Categories
POP Single Single

포스트 말론(Post Malone) ‘Chemical’ (2023)

평가: 2/5

다가올 5집의 선공개 싱글은 한결 부드러운 사운드를 선보인 전작 < Twelve Carat Toothache >의 기조를 따른다. 데뷔 초 ‘Congratulations’, ‘Rockstar’ 등 트랩 비트를 재료 삼아 음악 시장을 호령했던 모습은 이제 과거의 이야기가 됐다. 힙합이 사라진 자리는 포스트 말론 특유의 기타가 중심이 된 팝 록이 대체한다.

향수를 자극하는 포크 선율 위 전매특허인 캐치한 멜로디가 화학반응을 일으켜보지만 한 방이 부재한 단조로운 전개가 흥미를 반감한다. 창법의 변화도 낯설다. 각종 차트를 석권했던 허스키 보컬 대신 리버브를 강조한 아련한 톤은 복잡한 화자의 감정을 보조하기보다 음정의 불안을 청자에게 선사한다. 다행인 건 넓은 장르 소화력과 귀에 감기는 멜로디 메이킹이 건재하다는 점. 강약 조절이 필요한 시점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부활 ‘기적 (Miracle)’ (2023)

평가: 2.5/5

수많은 외로운 밤을 지나 열네 번째 음반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한국 록의 역사와 나란히 걸어온 부활이 전작 < Purple Wave >(2012) 이후 간헐적으로 발매된 싱글을 묶어 올가을 복귀를 예고한다. 긴 공백은 변화를 동반했다. 기나긴 역사에 굵직한 명 보컬리스트들을 대거 배출한 그룹은 5년간 멤버로 활약한 김동명과 작별하고 박완규를 다시 품에 안았다.

전혀 새로울 것 없는 정통 록발라드다. 리더 김태원이 주조한 서정성 짙은 멜로디는 ‘사랑할수록’, ‘Never ending story’의 위력엔 못 미치나 무디지 않았으며, 독백하듯 한음 한음 쏟아내는 허스키 보컬엔 노련미가 배어 있다. 예스러운 선율에 대한 반가움과 피로감이 공존하는 싱글. ‘기적’을 바라기보다 익숙한 문법으로 고유의 감성을 보존했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더보이즈(THE BOYZ) ‘Roar’ (2023)

평가: 3/5

성숙해진 소년들에게서 여유가 감지된다. 강렬한 힙합 사운드를 내걸줄 알았던 더보이즈의 포효는 ‘The stealer’의 어두운 기조와 ‘Whisper’의 관능미를 보존해 한결 힘을 뺐다. 곡 전체를 관통하는 휘파람 소리와 쿵쾅거리는 드럼이 그루브를 형성하고 흡인력 강한 멜로디가 귀에 꽂힌다. 업템포 알앤비 스타일을 취한 싱글은 다층적인 코러스로 보컬 라인의 매력을 피력한 뒤 후반부 강렬한 댄스 브레이크로 승부수를 띄워 역동성을 더했다. 엑소의 ‘Love shot’이 떠오르는 매혹적인 후렴구는 덤. 청량한 소년미를 감추고 타락 천사로 파격 변신한 그룹 서사에 알맞은 사운드 구성이 매력적이다.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디어 클라우드(Dear Cloud) ‘Bye bye yesterday’ (2023)

평가: 3.5/5

어쿠스틱 피아노를 중심으로 구성한 선율 위 보컬 나인의 아련한 목소리가 얹힌다. 절제되고 정돈된 익숙한 모던록 사운드로 포문을 연 싱글은 후반부에 거친 연주를 몰아치며 반전을 꾀했다. 서정적인 멜로디와 불길한 음향 효과, 공간감을 극대화한 노이즈 등 극적인 구성이 지루할 틈 없이 귀를 사로잡는다.

약 2년 만에 돌아온 디어 클라우드의 키워드는 역시나 위로다. 신곡은 따뜻한 손길을 뻗기보다 염세적인 가사로 공감을 형성해 타인의 상처를 끌어안았다. 때론 슬플 때 마음속 깊이 함께 울어주는 친구가 필요하다. 그룹의 정체성이 온전히 드러난 ‘Bye bye yesterday’는 바로 그런 친구 같은 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