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POP Single Single

멜라니 마르티네즈(Melanie Martinez) ‘Death’ (2023)

평가: 2.5/5

독특한 비주얼을 가미한 콘셉트 앨범과 뮤직비디오로 이름을 알렸던 멜라니 마르티네즈가 신곡을 발표했다. 2015년 < Cry Baby >, 2019년 < K-12 >가 펼친 잔혹동화 세계의 주인공 ‘Cry Baby’에 죽음을 선포한 ‘Death’는 새 챕터 < Portals >를 여는 서막이다. ‘죽음에서 다시 돌아왔다’는 메시지를 반복하며 기괴한 판타지 차원으로의 발걸음을 재촉한다.

인간의 몸에서 기괴한 분홍빛 생명체로 재탄생한 뮤직비디오처럼 음악도 변화가 크다. 미니멀한 사운드에 리듬을 뚝뚝 끊던 기존과 달리 공간감을 키우고 러닝타임도 5분대로 늘렸다. 누 메탈과 인더스트리얼 장르로 전환하는 후렴이 흥미로우나, 한편으로는 몇 년 전 발매된 파피(Poppy)의 ‘I disagree’나 그라임스(Grimes)의 ‘We appreciate power’ 등이 다소 겹쳐 보인다. 영상에 종속된 인트로 성격이 강하다 보니 개별 곡으로 듣는 재미는 덜한 편. 앨범에 대한 호기심을 유도하기에는 화끈함이 조금 부족하다.

Categories
Album KPOP Album

트라이비(TRI.BE) ‘W.A.Y’ (2023)

평가: 3.5/5

이토록 해맑게 젊음의 에너지를 제창하는 노래가 근래 또 있었나 싶다. 타이틀곡 ‘We are young’을 듣고 들은 생각이다. 걸그룹 시장의 판도가 바뀌면서 초점이 ‘너와 나의 관계’에서 온전한 ‘나’를 조명하는 식으로 대거 옮겨갔지만 대부분 남다른 특별함에 근거를 두고는 했다. 상투적일지라도 공동의 소유인 ‘젊음’을 외치며 노래하는 트라이비의 목소리가 신선한 울림을 자아내는 이유다.

데뷔곡 ‘둠둠타’부터 직전 활동곡 ‘Kiss’까지 트라이비의 음악은 대체로 뭄바톤을 기반으로 한 퍼포먼스 중심이었다. ‘We are young’은 그보다는 지난 싱글의 수록곡 ‘In the air (777)’를 계승하며 시원한 전자음에 귀에 쉽게 안착하는 멜로디를 탑재했다. 물론 프로듀서 신사동호랭이 본인의 말처럼 현아의 2011년 히트곡 ‘Bubble pop!’의 새 버전은 맞다. 그러나 과거 숱하게 지적 받은 작곡가의 단순 자가복제보다는 시의적절한 복각과 재해석에 가까워 호의적 반가움이 앞선다.

수록곡도 타이틀곡의 테마를 나눠 가진다. 아련한 보컬 연출과 선율이 돋보이는 ‘Stay together’, 반짝거리는 이펙트의 ‘Wonderland’는 푸르른 새 계절의 심상을 공유하며 콘셉트 변화에 따른 마찰감을 최소화한다. 통일된 분위기 조성에만 그치지 않고 각각 어쿠스틱 기타와 신시사이저 사운드를 확실한 포인트로 삼아 몰입도와 균형감까지 잡아냈다. 이음새를 빼곡히 메꾸는 현빈의 랩도 주목할 요소다. 많지 않은 분량에도 이목을 끌어당기며 팀의 분명한 강점 역할을 수행한다.

2021년 활동곡 ‘우주로(Would you run)’에서 스펙터클을 걷어낸 오리지널 버전은 과거와 새 지향점을 연결하는 곡이다. 딥 하우스 편곡이 일부 밋밋하긴 하나 장르에 대한 높은 소화력을 보여주며 향후 트라이비에 대한 기대감을 심어준다. 그나마 아쉬운 트랙은 궤도를 이탈해 겉도는 ‘Witch’인데, 시네마틱한 구성과 명료한 훅 덕분에 곡 자체는 썩 나쁘지 않다. 짧은 분량에 다각적 면모를 보여줘야 하는 아이돌의 한계를 벗어나진 못했어도 그 안에서의 대응만은 필사적이다.

불가피한 변신을 위해 기존의 색깔을 일부 포기했고, 그 수단 또한 일종의 리메이크라는 점에서 < W.A.Y >는 아직 많은 과제를 남긴다. 그래도 앞으로의 전망이 밝은 것은 일관적인 콘셉트를 맴도느라 필연적으로 매니악해질 수밖에 없던 그룹의 상황을 타개했기 때문이다. 대중과의 접점을 만드는 데에 성공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이번 EP가 지니는 의미는 크다. 대책 없이 외치는 ‘젊음’ 앞에 펼쳐진 드넓은 활주로, 일곱 비행기가 곧 이륙을 앞두고 있다.

-수록곡-
1. Stay together
2. We are young 
3. Witch
4. Wonderland
5. 우주로(Would you run) original ver.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허성현(Huh) ‘Midnight law (Feat. 스키니 브라운)’ (2023)

평가: 3/5

음색은 순전히 타고 나는 것이지만 이를 어떻게 활용할 지는 전적으로 능력의 몫이다. 허성현의 새 싱글은 래퍼가 단순히 개성적인 톤에만 의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공격적인 면모는 더블 타이틀곡 ‘Hdyf’에 일임, ‘Midnight law’는 힙합 리스너 너머 일반 대중에게도 거부감 없이 도달하려는 시도다.

달짝지근한 기타 루프, 연인과의 흔들리는 관계를 토로하는 가사는 분명 상투적이다. 그러나 본인만의 강점을 보편적 기호에 일치시켰다는 점에서 곡은 유의미한 결과물이 된다. 매 순간 시청자에게 각인되려 애쓰던 경연 프로그램과 달리 여유로운 장악력이 빛난다. 이미 그전에도 앨범을 냈던 만큼 방송과 스튜디오의 차이를 분명히 알고 있음이 드러난다. < 쇼미더머니 11 > 준우승을 뒤로 한 채 본격적인 커리어 재시동이 청신호를 가리킨다.

Categories
Album POP Album

고릴라즈(Gorillaz) ‘Cracker Island’ (2023)

평가: 3/5

한동안 이어졌던 ‘광기의 메타버스’ 시대가 주춤하고 있다. 수많은 영역에서 생소한 이름을 순식간에 트렌드로 드높였으나 지금은 본질에 대한 의문과 함께 기세가 살짝 꺼진 상황이다. 그리고 그 틈을 타 조상 격인 고릴라즈의 신보가 도착했다. 브릿팝을 이끈 주역 블러의 프론트맨 데이먼 알반과 일러스트레이터 제이미 휴렛의 합작 프로젝트인 가상 밴드의 새 무대는 < Cracker Island >. 과자처럼 산산이 부서질 위험이 도사린 현대 사회에 대한 은유다.

고릴라즈 하면 익히 떠오르는 구성을 유지했다. 쫀쫀한 베이스와 맛깔나는 리듬, 그리고 데이먼 알반의 건조한 음색이 탄탄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차별점은 나른한 분위기로 ‘섬’의 이미지를 구체화하는 적극적인 신시사이저 운용이다. 향락적 테마를 조성해 느긋하고 편안한 청취를 제공하지만 한편으로는 천천히 세상을 침공하는 디지털 문명을 섬뜩하게 암시한다. 비중이 줄어든 스토리텔링을 음악으로 대체했다.

트랙리스트의 절반 이상에 피처링 아티스트가 이름을 올렸음에도 앨범은 각 뮤지션의 성향에 크게 좌우되지 않고 일련의 ‘고릴라즈 스타일’로 귀결된다. 휘청거리는 일 없이 안전성을 담보하나 게스트의 활용도가 크지 않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테임 임팔라와 부티 브라운에게 지분을 대거 넘겨준 ‘New gold’나 배드 버니가 라틴어로 노래하는 ‘Tormenta’ 정도를 제외하고는 썬더캣, 스티비 닉스, 벡 등 내로라하는 뮤지션의 존재감을 느낄 여지가 부족하다.

이러한 기조는 혼종성을 표방하던 초기 어두운 음악보다는 대중적 스타일로 노선을 튼 중반기 이후의 흐름을 따르기 때문일 테다. 그러나 위켄드의 < Dawn Fm >이 연상되는 ‘Silent running’과 같은 트랙은 독창성이 지나치게 묽어진 인상을 주기도 한다. 희망적인 것은 음반의 주제를 빌려 지금 세대에 대한 설교를 구태여 던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집착을 버려야 얻어낼 수 있는 동시대성의 지혜를 데이먼 알반은 알고 있다.

진부하지만 현상 유지라는 표현이 가장 적절하겠다. 밴드의 선구자적 위치를 생각하면 아쉬울 수도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 Cracker Island >의 이런 ‘무난함’은 메타버스 후손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날린다. 특별하다는 감상을 대중에게 강요하지 말 것, 그리고 별 볼 일 없어 보이는 그 자체로 다가가야 성공한다는 것. 과격한 돌풍보다 따스한 햇살을 비추며 접근하는 방식이 더 무섭고 확실한 법이다. ‘별난 프로젝트’를 넘어 확고한 입지를 차지한 고릴라즈의 존재가 이를 말해준다.

-수록곡-
1. Cracker island (Feat. Thundercat) 
2. Oil (Feat. Stevie Nicks)
3. The tired influencer
4. Silent running (Feat. Adeleye Omotayo)
5. New gold (Feat. Tame Impala, Bootie Brown)
6. Baby queen
7. Tarantula
8. Tormenta (Feat. Bad Bunny)
9. Skinny ape
10. Possession island (Feat. Beck)

Categories
KPOP Single Single

NSW 윤(NSW Yoon) ‘Fuck around (Feat. 지스트)’ (2023)

평가: 2.5/5

< 쇼미더머니 11 > 세미 파이널에서 우승자 이영지와 맞붙었던 NSW 윤의 새 EP < In My Mood >의 타이틀곡이다. 방송의 후광을 받으려는 목표로 평소 하던 드릴 장르를 택할 법도 했는데, 맹렬함은 가사의 몫으로만 남겨두고 부드러워진 감촉의 싱잉 랩으로 노래를 꾸렸다. 조급하게 밀어붙이지 않고 차근차근 소화 영역을 넓히려는 의도를 읽을 수 있다.

독특한 발음이 시선을 끄나 강렬하지 않은 첫인상이 마지막까지 이어진다. 지스트의 피쳐링도 곡에 잘 녹아들긴 하나 판세를 뒤엎는 정도는 아니다. 오늘보다는 내일, 지금보다는 다음을 기약하는 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