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려했던 아이돌 시절을 지나 새롭게 둥지를 튼 아티스트의 새로운 시작. 지금의 심정을 꽃에 비유한 가사는 그간의 회고와 앞으로의 다짐을 호소력있게 담아내고 있다. 다만 그 ‘새출발’을 음악에서는 느끼기 힘들다는 것이 문제. 뭄바톤과 트로피컬 하우스라는 장르적 활용. 분위기를 고조시킨 후 드롭을 통해 절정으로 끌고가는 구성 등 이미 많은 케이팝 댄스곡에서 쓰였던 소스들이 대부분이다.
물론 소재가 흔하다고 결과물이 나쁘라는 법은 없지만, 리듬을 강조했음에도 좀처럼 그 역동성이 와닿지 않는 것은 분명 문제다. 플로우를 상실한 랩과 후렴 직전의 억지스러운 멜로디 라인은 별다른 힘을 발휘하지 못하며 808 베이스 중심의 클라이막스는 힘을 붙여야 할 곳에서 오히려 텐션을 낮추는 형국이다. 퍼포먼스를 고려한 선택임은 이해하나, 좀 더 ‘음악’으로서의 매력도 강조되었으면 어땠을까 싶다. 홀로서기를 했음에도 아직 프로덕션의 기복에 좌지우지 되는 모습, 시야를 넓혀가며 조금씩 극복해가야 할 그의 첫번째 과제다.